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 현장실습 체험연구

이용수 285

영문명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during Field Training with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공소연(Kong So-yeon) 한경아(Han Kyeong-a)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6권 제3호, 509~53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1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이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현장실습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지를 탐구하여 그들의 체험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아동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석사과정생 6명을 참여자로 선정하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 절차에 근거하여 7개의 본질적 주제와 19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학문적 고정관념과 자신이 가진 편견 및 선입견을 경계 할 때만이 내담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각성하게 된다. 둘째, 참여자들은 현장실습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를 겪으며 이론적 이해뿐만 아니라 실무에 관한 훈련 및 슈퍼비전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셋째, 참여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가 결혼이주여성인 어머니와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지만, 어머니와의 치료적 협력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고민하게 된다. 넷째, 참여자들은 다문화가정 내 교육적 지원과 정서적 교류 부족으로 인해 잠재되었던 아동의 자원과 역량을 발견하고 키워나가는 데 있어 미술이 중요한 수단이자 통로가 될 수 있음을 경험하게 된다. 다섯째, 참여자들은 다문화가정 아동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미술치료 전문가이자 성숙한 개인의 한 사람으로서 나아가는 데 있어서 필요한 경험이었음을 깨닫게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during field training with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xplo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understanding their involvement. This study targeted six graduate students in master’s degree with experience in practicing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s examination derived seven essential themes and 19 sub-themes based on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nd determ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articipants realized that adequate therapy was available when they were cautious about academic stereotypes, personal bias, and prejudice. In addition, participants experienced varying problems during field practice and realized the importance of theoretical understanding, training and supervision on practical affairs. Also, subjects understood that cooperation with mothers was difficult when issues with children were related to a foreign-born mother. Furthermore, participants found that while children’s resources and competence were hidden due to lack of educational support and emotional exchange, and they did experience art an important means and pathway for cultivating such resources and competence. Finally, participants understood that field practice experience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necessary to develop art therapy expertise and become a mature individua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공소연(Kong So-yeon),한경아(Han Kyeong-a). (2019).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 현장실습 체험연구. 미술치료연구, 26 (3), 509-533

MLA

공소연(Kong So-yeon),한경아(Han Kyeong-a).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 현장실습 체험연구." 미술치료연구, 26.3(2019): 509-5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