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자비명상과 타인자비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이용수 521

영문명
The comparison for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meditation and other-compassion meditation
발행기관
한국명상학회
저자명
박도현(Do-Hyeon Park) 김완석(Wan-Suk Gim)
간행물 정보
『한국명상학회지』제9권 제1호, 57~7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비명상의 시작 대상을 자기와 타인으로 달리하였을 때 자비심 계발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수치심처럼 부정적인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들은 특히 자기 자신에 대한 자비명상을 어려워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자비명상 대상의 순서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자비를 먼저 하는 자기자비명상 프로그램과 타인자비를 먼저 하는 타인자비명상 프로그램의 두 개의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참가자 71명을 모집하여 두 개의 집단에 무선적으로 할당하여, 8주간 두 개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비심은 그 대상에 따라 타인자비, 지인자비, 자기자비로 세분화하여 정의한 후, 프로그램 실시 전부터 시작하여 종료시까지 2주 간격으로 총 5회에 걸쳐 측정하였다. 결과는 수치심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에는 타인자비 프로그램집단이 자기자비 프로그램집단에 비해 타인자비 점수의 향상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치심이 낮은 사람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지인자비 및 자기자비 점수는 수치심 수준과 두 개의 프로그램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타인자비의 계발에서 자비명상 대상의 순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효과적일지를 다루었다. 본 연구결과는 높은 수치심과 같이 부정적인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에는 긍정적인 타인을 위주로 먼저 자비수행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제까지 자비명상 연구는 단순히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위주로 하였으나, 향후에는 이를 넘어서서 효과의 기제와 치료적 개입전략에 대한 연구로 나아가야 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ultivating of compassion when the object of Loving-kindness & Compassion Meditation(LCM) is different between self and others. 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people with negative self-concepts, such as shame, have a difficulty on practicing LCM toward themselves, so we verified differences in the order of the objects of LCM. We designed two programs: a self-LCM program, which the participants practice LCM toward themselves first, and a other-LCM program, which the participants practice LCM toward positive others first. 71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of each programs designed for 8-weeks. The compassion was conceptualized three different scales, that is, compassion toward strangers and close others, and self-compassion, and measured five times at intervals of two weeks from pre to post of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ther-LCM program was more effective for the cultivating of compassion toward strangers for people with high sham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two programs in compassion toward close others and self-compassion in term of the level of shame. We discussed what would be the order of object of LCM in the cultivating of compassion for strangers. Th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with negative self-concept such as high shame, may be more effective when they practice LCM toward positive others first. In the future study of LCM, not only verifying the effect, but also finding the mechanism of effect and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strategy.

목차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도현(Do-Hyeon Park),김완석(Wan-Suk Gim). (2019).자기자비명상과 타인자비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한국명상학회지, 9 (1), 57-77

MLA

박도현(Do-Hyeon Park),김완석(Wan-Suk Gim). "자기자비명상과 타인자비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한국명상학회지, 9.1(2019): 57-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