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로 시각장애인의 업무 만족도 및 여가 참여가 장애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45

영문명
The Mediator Role of Self Esteem in the Pathways from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ies to Acceptance of Disability in Workers with Visual Impairment
발행기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저자명
김상원(Kim Sangwon) 엄문설(Eom Mun-seol) 오혜민(Oh Hye-min) 유한별(Yu Han-byeol) 이양희(Lee Yanghee) 조준동(Cho Jun-do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인복지학』제43호, 133~15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업무 만족도, 여가 참여, 자아존중감, 그리고 장애 수용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업무 만족도 및 여가 참여와 장애 수용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역할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1차 조사 데이터 중 시각장애가 주된 장애 유형이며 현재 일을 한다고 답한 330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시각장애인이 경험하는 업무 만족도는 장애 수용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시각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는 장애 수용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않았지만, 자아존중감을 통해 장애 수용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과 여가 영역에서 시각장애인의 장애 수용도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job satisfaction, leisure activities, self-esteem,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for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 In addition, the role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leisure participation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were investigated. In doing so, this study used the first dataset from 2nd Wave data extracted from the Panel Survey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collected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EDI). A total of 330 respondents who report visual impairment as a major disability and are currently working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experienced by the visually impaired had a direct impact o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indirectly through self-esteem.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f the visually impaired did not directly affect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but it was indirectly influenced by self-esteem.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work and leisure to increase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for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원(Kim Sangwon),엄문설(Eom Mun-seol),오혜민(Oh Hye-min),유한별(Yu Han-byeol),이양희(Lee Yanghee),조준동(Cho Jun-do. (2019).근로 시각장애인의 업무 만족도 및 여가 참여가 장애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43), 133-155

MLA

김상원(Kim Sangwon),엄문설(Eom Mun-seol),오혜민(Oh Hye-min),유한별(Yu Han-byeol),이양희(Lee Yanghee),조준동(Cho Jun-do. "근로 시각장애인의 업무 만족도 및 여가 참여가 장애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43(2019): 133-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