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묵자의 유가(儒家) 비판에 관한 논고

이용수 54

영문명
Discussion on Mozi’s Criticism of Confucianism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강봉수(Kang Bong-soo)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연구』제17권 제1호, 99~12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5.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묵자는 모든 일에 표본이 있어야 하듯이, 진리를 탐색하는 일에도 표본이 있어야 한다고 여긴다. ‘천하를 다스리는 방안’으로서 철학적 진리탐색의 표본은 ‘하늘’에 두어야 한다. ‘하늘’은 세계의 모든 존재들을 차별 없이 사랑하고 이롭게 하는 무한 보시의 존재이다. 인간도 이러한 ‘하늘’을 본받아 진리탐색의 표준으로 삼아야 한다. 그러나 하늘의 사랑은 아무래도 추상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원리이다. 이러한 진리탐색의 표본은 구체적인 역사현실에서 증명될 수 있어야 한다. 묵자는 참된 진리의 준거로 본(本; 표본)?원(原; 근원)?용(用; 실용)의 삼표론(三表論)을 주장한다. 첫째, 참된 진리의 ‘표본’(本)은 “선대 성왕들의 사적”에 두어야 한다. 둘째, 참된 진리의 ‘근원’(原)은 “백성들의 보고 들은 실정”에 두어야 한다. 셋째, 참된 진리의 ‘실용’(用)은 모든 국가정책의 실행을 공리성과 실용성에 두어야 한다. 한마디로, 묵자에게 철학적 진리란 백성들의 삶과 사회를 개선시키는 실용적인 목적에 기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묵자는 이러한 진리인식론에 토대하여 현실적 악의 소종래를 7가지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이러한 악의 원인은 임금을 비롯한 위정자들이 사치와 낭비에 일삼고 백성들을 위한 정치를 하지 않는데 있다고 묵자는 진단한다. 또한 이러한 악을 가져오는 데 사상적으로 기여한 이들이 있다. 공자와 유가가 그들이다. 그래서 묵자는 악을 치유하는 자기만의 철학적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유가들과 사상전을 전개하지 않을 수 없었다. 유가들은 하늘과 귀신의 존재이유를 무시하고 운명을 믿었다. 운명을 믿으면 인간의 자유의지가 설 땅이 없다. 사람이 잘살고 못하는 것도, 세상이 다스려지고 다스려지지 않는 것까지도 운명의 탓으로 돌려버리게 된다. 그러면 사람들은 게을러진다. 그것은 하늘의 뜻이 아니다. 하늘은 세상을 두루 사랑한다. 따라서 인간들도 두루 사랑하고 서로 이익을 나눠야 한다. 그런데 유가들은 사람을 서로 차별한다. 후한 장례와 오랜 상례를 하면서 사치와 낭비를 일삼고 음란한 음악으로 백성들의 마음을 어지럽힌다. 사람을 두루 사랑한다는 것은 서로 이익을 나누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러하려면 절용해야 하고, 상제례를 간소화하고 음란한 음악을 없애야 한다. 그리고 세상을 개혁하려면 술이불작(述而不作)적인 학문태도는 옳지 못하다. 술이불작은 보수적인 태도일 뿐이다. 세상은 늘 술이 가작(述而可作)한 이에 의하여 변화해 왔다. 이상이 유가비판의 핵심 내용들이다.

영문 초록

Mozi believed that seeking truth requires a model, just as all kinds of affairs in life do. A philosophical truth-seeking as ‘means of ruling the world’ should be modeled on the way that ‘heaven (天, Ti?n)’ governs the universe. ‘Heaven’ is an infinite giver that loves and benefits all creation indiscriminately. Humans should also set the criteria of their seeking truth in a way of emulating the act of ‘heaven.’ Nonetheless, the way that the heaven loves all nature of the universe lies more or less on the abstract and metaphysical principles. Models of the truth-seeking process should be verified in light of specific historic events. Mozi therefore developed the theory of ‘three criteria’ (三表論, S?nbi?olun), including the ‘exemplariness’ (本, Ben), ‘basis’ (原, Yuan), and ‘applicability’ (用, Yong), on a path toward authentic truth. According to the theory, ‘examples’ of authentic truth should first be found in the ‘personal achievements of admired rulers in the former dynasties.’ Second, truth should be ‘based’ on the ‘actual circumstances told by the public.’ The third criteria proves that the examples are applicable to all national policies that should satisfy public interests and be practical. In short, a philosophical truth from Mozi’s perspective refers to what pursues a pragmatic goal of enhancing the life of the people as well as the society. On the basis of the afore-mentioned theory on truth-seeking, Mozi analyzed the foundation of the vices in real life and divided them into seven categories. He diagnosed that evil acts result from extravagance and dissipation of those rulers including kings whose policies are not implemented for the sake of their people. According to Mozi, the vices were born due to an ideological contribution of a certain philosophical school: Confucius and his pupils. Consequently, his theories led to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against the Confucian scholars in search of his own philosophical measure to fight off the vices. Those who advocated Confucianism ignored heaven and apparitions (鬼神, Gu?shen) or the reasons for their existence, and believed in fate. Once fate is accepted, free will of a person will lose its footing. Whether a person lives a successful or an unsuccessful life, or even whether the world is well governed or not, will be attributed to the fate eventually. This will make people lazy. It goes against the providence of heaven. Heaven loves the world indiscriminately. Accordingly, people should love one another universally and share the same benefits. However, Confucian scholars teach their pupils to treat people differently. Those who follow the Confucian theories indulge in extravagance by conducting wasteful funerals and holding long-lasting rites while deranging the minds of the people with lewd music. An indiscriminate love is not different from sharing the same benefits one another. This requires spending less, simplifying funerals or rites, and eliminating lewd music. In addition, the academic attitude of ‘having old lessons naturally result in new theories (述而不作, shuerbuzuo)’ is not appropriate for reforming the world. It is merely a conservative approach. The world has changed only by those who ‘create new things while teaching old lessons (述而可作, shuerk?zuo).’ The above-mentioned discussion summarized Mozi’s criticism of Confucianism.

목차

Ⅰ. 서론
Ⅱ. 악(惡)에 관한 제자백가적 처방과 묵자의 길
Ⅲ. 진리란 무엇인가?
Ⅳ. 묵자의 유가 비판의 내용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봉수(Kang Bong-soo). (2015).묵자의 유가(儒家) 비판에 관한 논고. 교육과학연구, 17 (1), 99-129

MLA

강봉수(Kang Bong-soo). "묵자의 유가(儒家) 비판에 관한 논고." 교육과학연구, 17.1(2015): 99-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