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 연구

이용수 295

영문명
A Study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조연오(Jo Yeon-O) 한경임(Han Kyung-Im)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29권 제1호, 229~25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에서 드러나는 개념들을 범주화하여 중심현상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맥락적 조건과 중재상황에서 상호작용 전략을 찾아냄으로써 특수교사 직업정체성 패러다임 모델을 도출하고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 유형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경남 지역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교사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근거이론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과정을 거쳐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에서 나타난 개념은 총 226개이며, 이것은 45개의 하위범주와 20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패러다임의 모형에 따르면 중심현상은 ‘혼돈’이었으며, 중심현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조건은 ‘가치충돌’이었다. 중심현상인 ‘혼돈’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일반교사의 태도’, ‘지원체계’, ‘장애정도’이며, 중심현상을 해결하는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상황으로는 ‘인간애’, ‘전문성 내면화’, ‘교육효과’가 도출되었다. 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적극적 대처’, ‘관계형성’, ‘자위’, ‘탓’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는 ‘자부심’, ‘안주’, ‘공허함’, ‘무사안일주의’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혼돈’에는 외적으로 사회적지지 체계, 교육환경 시스템 그리고 내적으로는 연구 참여자와 일반교사, 장애학생이 상호작용하며, 장애학생을 둘러싼 학부모, 보조원, 학교 관리자와 행정직원 등이 서로 다른 관계 수준에서 작용・반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참여자별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의 유형은 중심현상 혼돈의 정도와 맥락적 조건과 중재상황, 상호작용 전략에 따라 5가지 유형이 존재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특수교사의 정체성 형성은 중심현상인 ‘혼돈’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과 중재상황에 따라 사용하는 대처 전략을 통해 나타나는 결과를 통해 이루어지는 지속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ofessional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sev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ding five females and two males. They had education experience from nine years to 16 years in the special school or special day classroom. In 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nd all of the interview data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by participant’s agreement. Those data were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Results: First, the data were analyzed into 226 concepts, 45 subcategories and 20 categories. The core phenomenon they have felt through their education experience was ‘confusion.’ The causal condition affecting to the ‘confusion’ was ‘value conflict.’ As contexts, ‘attitude of regular teachers’, ‘support system’, and ‘severity of disability’ had an effect on the core phenomenon. The intervention circumstance including ‘humanity’, ‘expertise internalization’, and ‘education effectiveness’ made an influence on their coping with the core phenomenon. Interaction strategies were ‘active coping’, ‘making relationship’, ‘self-consolation’ or ‘blaming.’ They showd the results including ‘self-respect’, ‘self-satisfaction’, ‘emptiness’, ‘complacency’, or ‘complex.’ Secon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related to social support syste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ystem as outside factors and to regular teachers,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sistants, and administrators as inside factors. Third, based on the paradigm model gained from this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Co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was not fixed but dynamic and constantly developing and chang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연오(Jo Yeon-O),한경임(Han Kyung-Im). (2019).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 연구. 교육혁신연구, 29 (1), 229-255

MLA

조연오(Jo Yeon-O),한경임(Han Kyung-Im).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 연구." 교육혁신연구, 29.1(2019): 229-2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