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이용수 114

영문명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권기남(Kwon Ki-Nam) 장유진(Jang Yu-Jin)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29권 제1호, 163~18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 전통문화교육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도, 지식 정도, 전통문화교육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파악함으로써 유아기 전통문화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7개 지역의 유치원 6곳과 어린이집 7곳을 선정하여 이곳에 재직 중인 누리과정 담당 유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 자료를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첫째, 유아교사들은 유아기 전통문화교육의 필요성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유아기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자신들의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지식 정도를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지각했으며, 경력이 많은 유아교사일수록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유아기 전통문화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전통문화교육 계획 시에는 ‘교사의 전문성 부족’을 들었고, 전통문화교육 운영 시에는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중요성 및 이해 부족’을 들었다. 넷째, 유아교사들은 유아기 전통문화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통문화교육 운영 지침서 및 교재교구 개발’, ‘전통문화교육 연수 및 교육 강화’ 등의 순으로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eek direction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identifying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interest, degree of knowledge, problems and activating methods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Method: From 7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6 kindergartens and 7 daycare centers were selected.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28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18.0 program.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s a high level, but the interests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at low level.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ir level of knowledge about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to be slightly higher than median, and knowledge level was higher in teachers with longer work experience.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that the lack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the planning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education operation. Fourth, early childhood teachers pointed out that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program , development of instruction manual and teaching materials , and training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re needed to facilitate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Conclusion: In order to substantialize and revitalize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With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traditional cultural education programs, operating guidelines and teaching materials, which can be easily us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기남(Kwon Ki-Nam),장유진(Jang Yu-Jin). (2019).유아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교육혁신연구, 29 (1), 163-181

MLA

권기남(Kwon Ki-Nam),장유진(Jang Yu-Jin). "유아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교육혁신연구, 29.1(2019): 163-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