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별에 따른 유아-교사 관계 집단의 판별요인 연구 : 정서-행동 유능성, 의도적 통제를 중심으로

이용수 110

영문명
A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The Rol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Strengths and Effortful Control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신수아(Shin Sua) 김지현(Kim Jihyun) 정가윤(Chung Kayoun)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26권 제1호, 111~13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의 정서-행동 유능성, 의도적 통제가 유아-교사관계를 판별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성별에 따른 유아-교사관계의 예측과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유아교육기관 만 4, 5세 반 유아 424명과 그들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수집, 분석하였다. 유아-교사관계 총점을 기준으로 상위 25%이상, 하위 75%이하 집단을 구분하여 정서-행동 유능성 하위변인 중 정서조절, 가족참여, 의도적 통제 하위변인 중 억제조절, 미소와 웃음이 유아-교사관계 집단을 판별하는지 살펴보았다. 남아와 여아를 나누어 판별분석한 결과, 모두 사회정서적 측면인 정서조절이 가장 큰 판별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남아는 기질적 측면 중 억제조절이, 여아의 경우 사회정서적 측면 중 가족참여가 그 뒤를 이은 판별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판별분석을 사용하여 유아-교사관계의 판별요인(정서조절, 가족참여, 억제조절, 미소와 웃음)을 밝히고, 남아와 여아의 유아-교사 관계 판별요인을 각각 파악하여 그 차이점을 알아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는 현장에서 유아가 교사와의 관계형성에 있어 이점을 가지는 사회정서적, 기질적 차원의 요인을 파악하여 교사 및 부모가 긍정적인 유아-교사 관계의 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해당 요인을 가지지 못하는 유아들을 중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riminate the important variabl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strengths (emotional regulation and family involvement) and effortful control (inhibitory control, smiling and laughter) that could predict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were 424 children aged 4~5, and their teachers. All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boy and girls. The results showed that (a) the discriminant function derived from the four variables was effective in classifying the high group and the low group of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b) emotional regulation plays a key role in predicting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for both boys and girls. For the boys, inhibitory control followed. On the other hand, for the girls, the second discriminant factor is family involvement. Using these results, we can cope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 child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and by recognizing the discriminant factors. Teachers and parents could find ways to support the formation of a positive child-teacher relationship by identifying factors of social-emotional dimensions and temperament dimensions that have advantages in forming relationships with teachers in the field. This study also suggests a direction to mediate a child who does not have factors that have an advantage in forming relationships with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수아(Shin Sua),김지현(Kim Jihyun),정가윤(Chung Kayoun). (2019).성별에 따른 유아-교사 관계 집단의 판별요인 연구 : 정서-행동 유능성, 의도적 통제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6 (1), 111-134

MLA

신수아(Shin Sua),김지현(Kim Jihyun),정가윤(Chung Kayoun). "성별에 따른 유아-교사 관계 집단의 판별요인 연구 : 정서-행동 유능성, 의도적 통제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6.1(2019): 111-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