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중간체계환경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 소속감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이용수 340

영문명
The Effect of Mesosystem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Sense of Community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한세영(Han Sae-Young) 유설희(Yoo Seolheui)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26권 제1호, 69~8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중간체계 환경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공동체 소속감을 통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에 조사된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자료를 활용하여 중․고등학생 청소년 5,050명(남학생: 2,472명, 여학생: 2,578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중간체계환경과 공동체 소속감, 주관적 행복감을 측정하였고, 이는 청소년에 의해 보고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 상관계수를 측정하였으며,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중간체계환경은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중간체계환경이 긍정적으로 작용할수록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이 높아졌다. 또한, 중간체계환경은 공동체 소속감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즉, 청소년의 중간체계환경이 긍정적일수록 공동체 소속감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주관적 행복감도 높아졌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둘러싼 공동체 구성원 간의 긍정적인 관계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그 과정에서 공동체 소속감이 매개적 역할로 작용함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상담과 교육현장에서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동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공동체 구성원들 간 소통 활성화 및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sosystem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using the 2017 survey on the Korean Child-Youth Well-Being Index. A total of 5,050 adolescents(2,472 boys and 2,578 girls) were included and all variables were assessed with adolescents self-repor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SPSS 23.0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AMOS 23.0. The adolescents’ mesosystem affected their subjective well-being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their sense of community. Positive relations with the mesosystem enabled the adolescents to improve their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those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the mesosystem were more likely to feel that they belong to the community, which led to higher overall levels of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their live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by emphasizing the crucial influences of the mesosystem and the sense of community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Also, th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in the counseling and education fiel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community, activating communica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forming a positive relationship.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세영(Han Sae-Young),유설희(Yoo Seolheui). (2019).청소년의 중간체계환경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 소속감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6 (1), 69-89

MLA

한세영(Han Sae-Young),유설희(Yoo Seolheui). "청소년의 중간체계환경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 소속감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6.1(2019): 69-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