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춘천 지역 지석묘 구조 변화와 지석묘군의 조성 과정

이용수 264

영문명
Changes of the Dolmen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Dolmen Groups in Chuncheon Area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송만영(Song Man-young)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92집, 31~6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춘천 지역 무덤의 장제 변화와 관련하여 지석묘가 조성된 청동기시대 중기에 이차장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는 점에 주목하여 그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그 결과 춘천 지역의 지석묘는 청동기시대 중기 후반에 집중적으로 조성되었으며, 특히 지석묘가 가장 밀집된 중도 유적에서는 대형 취락이 해체된 중기 후반부터 점토대토기 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조성되었다. 지석묘는 매장주체부 위치를 기준으로 지상식, 반지하식, 지하식, 깊은 지하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매장주체부가 지상에 노출될수록 묘역 시설과 매장주체부 규모가 큰 반면에 지하로 내려갈수록 묘역시설을 설치하지 않거나, 설치하더라도 작은 규모이며, 매장주체부도 작은 특징을 보여준다. 이러한구조 차이는 시간을 반영하는데, 지상식→반지하식→지하·깊은 지하식 순으로 매장주체부 위치가 변화하면서 지석묘 규모가 소형화 되는 점으로 보아 지석묘 조성에 투여되는 노동력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석묘 구조와 규모 변화는 천전리와 중도 유적 지석묘군의 조성 과정에 반영되어 있는데, 전반적으로 매장주체부의 지하화와 소형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며, 이러한 과정에서 이차장의 장제가 일반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청동기시대 중기 후반 이래로 인구 과밀을 극복하기 위한 적응전략에 따라 대형 취락이 해체되고 혼합경제 체제로 전환되는 과정과 관련된다. 토지에 의존도가 높은 생계경제가 포기되면서 농경지 확보를 전제한 이념조작의 전통적 기제로서 지석묘의 사회경제적 기능이 약화된 결과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atio of the funeral system of the secondary inhumation in the mid-Bronze Age, during which dolmens were built, and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is increase in connection with changes of the funeral system in Chuncheon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dolmens in Chuncheon area were constructed intensively in the latter half of the Bronze Age, in particular, in Jungdo site they were continuously built from the second half of the Bronze Age, in which the large-scale settlements, were dismantled to the Clay-stripe Pottery period. The dolmen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burial : ground, semi-underground, underground, and deep underground. While the more the central part of the landfill gets exposed, the larger the tomb facility and the central part of the grave gets, the more the central part goes down, the fewer the tomb facility is set up; even if the facility is set up, the size of it and the central part of the burial are small. These structural differences reflect time sequence: the size of dolmens gets low as the loca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grave changing in order of ground → semi-underground → underground and deep underground. The change also indicate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abor force to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dolmens.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scale of the dolmens are reflected in the formation of dolmen groups in Cheonjeon-RI and Jungdo sites. In these sites, it exhibits the rapid process of undergroundization and miniaturiza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burial; in this process, the secondary inhumation has become generalized. Besides, these chang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large-scale settlements being dismantled and converted into mixed-economic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adaptive strategy to cope with overpopulation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Bronze Age.

목차

Ⅰ. 머리말
Ⅱ. 춘천 지역 지석묘의 조성 시기
Ⅲ. 춘천 지역 지석묘의 구조와 변화
Ⅳ. 춘천 지역 지석묘군의 조성 과정과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만영(Song Man-young). (2018).춘천 지역 지석묘 구조 변화와 지석묘군의 조성 과정. 고문화, 92 , 31-60

MLA

송만영(Song Man-young). "춘천 지역 지석묘 구조 변화와 지석묘군의 조성 과정." 고문화, 92.(2018): 3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