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중등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비교

이용수 121

영문명
A Comparison of Perceptions Regarding the Significance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Between Preservice Secondary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통합교육학회
저자명
이현주(Lee Hyunjoo) 신미경(Shin Mikyung) 최나리(Choi Nari)
간행물 정보
『통합교육연구』제13권 제2호, 73~9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1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현장에서 보편적 학습설계는 성공적인 통합교육 내실화를 위한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부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중등 일반교사와 예비 중등 특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천, 전라북도, 경상북도에 소재하는 사범대학교 교원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예비 중등 일반교사 129명과 예비 중등 특수교사 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독립표본 t 검정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3가지 하위 영역별(다양한 방식의 학습 참여 제공, 다양한 방식의 표상 제공, 다양한 방식의 행동과 표현수단 제공) 세부 항목에 대한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중등 특수교사는 예비 중등 일반교사보다 보편적 학습설계 측면 전반에 걸쳐서 통계적으로 높은 정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다양한 방식의 학습 참여 제공’ 영역에서 예비 중등 특수교사는 예비 일반교사보다 학생들에게 노력, 관심, 주의집중을 위한 옵션을 제공하는 내용 및 학습유지를 위한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다양한 방식의 표상 제공’ 측면에서 예비 중등 특수교사는 학습자료, 지각, 학습방법, 테크놀로지를 위한 옵션 제공 사항아 예비 일반교사보다 통계적으로 더욱 중요하다고 여겼다. ‘다양한 방식의 행동과 표현수단 제공’ 측면에서 예비 중등 특수교사들은 학습 목표, 학습전략 및 학습 동기, 학습능력 표현 방법, 의사소통 표현 및 유창성 제공을 위한 옵션이 예비 일반교사들보다 유의할 정도로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장에 제공하는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aradigm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perceptions regarding the significance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between preservice secondary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ltogether 129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96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ducation college training courses in Incheon, Jeollabuk-do, and Gyeongsangbuk-do responded to questionnaire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overall perception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three guidelines. Regarding “providing multiple means of engagement,”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s on options for effort, interest, attention, and class engagement than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roviding multiple means of representation,”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materials, methods, and technology more than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roviding multiple means of action and expression,”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importance on options for providing learning objectives, strategies, motivation, communication expression, and fluency more than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fiel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주(Lee Hyunjoo),신미경(Shin Mikyung),최나리(Choi Nari). (2018).예비 중등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비교. 통합교육연구, 13 (2), 73-93

MLA

이현주(Lee Hyunjoo),신미경(Shin Mikyung),최나리(Choi Nari). "예비 중등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비교." 통합교육연구, 13.2(2018): 73-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