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오프라인 강좌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 학습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자 동기의 관계

이용수 241

영문명
Relationship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ers’ Motivation on Social Outcomes in Learning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at a College Offline Course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김소영(Soyoung Kim)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0권 제1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자 동기가 사회적 학습성과에 대하여 갖는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자기주도적 성향과 협력적 활동의 성과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내 일반대학의 사회과학분야 동일 교양강좌를 수강하는 79명의 학습자들이 오프라인 수업과 함께 페이스북 학습 활동에 참여하였다. 사회적 학습성과로는 페이스북 활동 참여빈도 및 참여수준, 학습만족도, 그리고 학습 상황에서의 관계 측정을 위해 사회적 자본형성을 포함하였다. 정준상관분석결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서 문제해결기술 활용도, 학습에 대한 개방성, 배움에 대한 애정 정도가 학습만족도, 사회적 자본형성, 참여수준과 각각 정준관계를 보였으며, 학습자동기 중 자신감과 참여빈도, 관련성과 참여수준, 만족도와 사회적 학습만족도가 정준관계를 갖고 있었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결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문제해결기술 활용도는 학습만족도에 대하여, 창의성은 사회적 자본형성에 대해 가장 강한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학습자 동기의 만족감은 사회적 학습만족도 및 참여수준에 대하여, 관련성은 사회적 자본형성에 대해 강한 영향력을 보였다. 그러나 학습에서의 독립성과 자발성은 사회적 학습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및 학습자 동기의 요소들이 사회적 학습성과와 체계적인 관계를 갖고 있으며, 심리적 요소들의 부정적인 영향력도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er’s motivation on social learning outcomes in learning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in order to provide explanations on collaborative results with self-directed tendency. A total of 79 learners belonging to a social science course of a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Facebook activities designed in parallel with offline lecture. As social learning outcomes, participatory frequency, participatory level,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social learning, and the bridging and bonding of social capital were considered. The results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uggested that confidence, relevance, and satisfaction showed systematic relationships with participatory frequency, participatory level,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social learning respectively; problem solving ability, openness to learning opportunity, and love of learning showed canonical relationships with satisfaction on social learning, social capital building, and participatory level respectively.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howed satisfaction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satisfaction on social learning and participatory level; relevance had the strongest impact on social capital build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had strong influence on satisfaction on social learning; creativity had strong impact on social capital building. On the other hand, initiative and independency in learning had a negative impact on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ere were systematic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learning outcomes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s well as motivation in learning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re was negative influence that instructors at college should conside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영(Soyoung Kim). (2018).대학 오프라인 강좌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 학습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자 동기의 관계. 교육방법연구, 30 (1), 1-28

MLA

김소영(Soyoung Kim). "대학 오프라인 강좌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 학습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자 동기의 관계." 교육방법연구, 30.1(2018):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