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라 대장식구의 전개와 의미
이용수 1513
-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Meaning of Silla belt Ornaments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저자명
- 김도영(Kim, Do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고고학보』제107집, 72~123쪽, 전체 5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9,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대장식구를 분석하여 그 전개 과정을 명확히 하고 그것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6세기 중엽 이전 신라에는 용문투조대장식구, 초엽문대장식구, 역심엽형대장식구 등 다양한 종류의 대장식구가 존재하였다. 각 부품의 선후관계를 예상하고 병행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라의 대장식구를 I~VI期로 나눌 수 있다.
I期는 삼연과 고구려로부터 대장식구 문화를 수용한 후 자체적으로 대장식구를 제작하는 시기이다. 전진으로 견사, 광개토대왕비에 기록된 고구려 남정으로 볼 때 당시 신라가 고구려의 강한 영향 아래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신라에 대장식구 문화가 본격적으로 수용되고 자체적으로 제작할 수 있었던 계기는 삼연 및 고구려와 이루어진 대외 교섭이었다.
II~III期는 신라 대장식구가 성립되며 경주를 중심으로 낙동강 이동 전 지역으로 확산되는 시기이다. 고구려의 군사적 압박을 받고 있던 신라는 5세기 중엽 이후 탈고구려화와 함께 낙동강 이동지역의 간접 지배를 시도한다. 그 과정에서 경주를 중심으로 대장식구가 분포하게 되었을 것이다.
IV~V期는 경주를 중심으로 대장식구의 장식성이 증가하고 다양한 형식의 대장식구가 제작되는 시기이다. 동시에 지방에서 자체적으로 대장식구를 제작하며 백제와 가야, 왜로 신라의 대장식구가 이입되기도 한다. 금공품을 매개로 한 각 국의 교류는 이 시기에 들어 활발하게 이루어졌을 것이다. VI期는 초엽문대장식구가 쇠퇴하고 누암리형대장식구, 철 및 청동제 대장식구가 출현하는 시기이다. 대장식구의 변화는 지증왕5년(504) 시행된 상복법의 시행, 그리고 법흥왕7년(520)에 반포한 율령 및 새롭게 제정된 복식제도와 관련이 있다.
이후 신라에는 교구, 과판, 대선금구를 동으로 주조한 황룡사형대장식구가 등장한다. 7세기 후반부터는 당식 대장식구를 받아들여 통일신라 이후에도 대장식구 문화는 지속된다. 통일신라시대 대장식구는 마립간기 대장식구와 달리 관복으로써 기능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larifi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illa belt ornaments by analyzing examples excavated from Silla tombs and interprets their historical meanings. Various types of metal belt ornaments were used in Silla prior to the mid-6th century, such as dragon-design belt plaques, grass-pattern belt plaques, and reverse leaf-type belt plaques. Silla metal belts can be divided into a total of 6 stages (Stage I to IV) based on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nd sequence of the individual belt ornament elements.
At first (Stage I), the indigenous production of belts began, influenced by the technologies of Sanyan and Goguryeo.
Following this, in Stage II and III, Silla belt plaques spread to areas throughout the region east of the Naekdong River, with Gyeongju at the center. In Stage IV and V, the ornamental nature of Silla belt ornaments increased, focusing on Gyeongju, and a wide variety of belt ornaments came to be produced.
Finally, in Stage VI, grass-pattern belt plaques fell out of use and were replaced by Nuamri-type belt ornaments; belt ornaments made of bronze and iron also came to be made.
Hwangryeongsa-type belt ornaments, in which certain components were cast in copper, subsequently came to be produced. From the late 7th century, Tang-style belt ornaments came to be adopted, which continued to influence the belt ornament culture of Unified Silla. In contrast to those of Silla’s Maripgan period, the belt ornament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played a role in the official dress code.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검토와 문제의 소재
Ⅲ. 신라 대장식구의 단계 설정과 연대
Ⅳ. 신라 대장식구의 전개와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The Cultural Mission in the New Era: Core Essentials, Generative Mechanisms, and Key Functions
- Xi Jinping's Triple Logic of the Important Exposition of Marine Powers into Colleges and Universities'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 The Contemporary Value, Basic Principles and Inheritance Paths of Outstanding Traditional Chinese Cultur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