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행청소년의 문양만다라 색채반응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09

영문명
Impact of color response of pattern mandala on self-esteem dimension of juvenile delinquent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정영숙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1권 제6호, 1263~128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1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문양만다라의 색채반응성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미술 치료 적용 방안의 이론적 논거를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차이 분석에서 청록에 대한 반응성은 여학생 이 더 높고 보라와 회색은 남학생이 더 높았다. 가족유형에서 청록은 모자가정 청소년이, 초록과 회색은 부자 가정 청소년의 반응성이 더 높았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은 관계적, 성취적, 울화적, 소외적, 위축적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자아존중감 차원과 색채반응성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적용한 결과 관계적 차원은 주황, 노랑, 보라, 마젠타와 유의한 관계가 있고, 성취적 차원은 청록, 초록, 회색, 검정에 대한 반응성과 관계가 있다. 울화적 차원은 파랑, 초록, 회색, 검정에 대한 반응성과 관계가 있다. 소외적 차원은 청 록 및 마젠타와, 위축적 차원은 주황, 노랑, 보라, 마젠타와 유의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분산을 색채반응성만으로 40.2% ~ 65.4%까지 설명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러한 결과는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 시 색채반응성과의 인과관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s ideas from collected data on self-esteem of juvenile delinquent that relate to color response of pattern mandala in an art therapy setting. First, degree of bluish green response is higher for female students and those of purple and gray is higher for male students than their counterparts. Considering family types, bluish green response is higher for juveniles with single parent of female-headed and green and gray response is higher for juveniles with single parent of male-headed. Second, the dimension of self-esteem was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and the result was five-factor solution: relation, achievement, anger, left out, and atrophy. Third,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dimension of relation is significantly related to response of orange, yellow, purple, and magenta. The dimension of achievement is related to bluish green, green, gray, and black. Anger dimension is related to blue, green, gray, and black while the dimension of left out is related to bluish green and magenta. The dimension of atrophy is related to orange, yellow, purple, and magenta. This study provides compelling evidence that color response of mandala is significant factor in understanding self-esteem dimensions of juvenile delinquent in terms of 40.2%~65.4% range of varia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art therapy in practice of juvenile delinquent to improve their self-estee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숙. (2014).비행청소년의 문양만다라 색채반응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21 (6), 1263-1281

MLA

정영숙. "비행청소년의 문양만다라 색채반응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21.6(2014): 1263-12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