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생의 사회불안과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의 반응특성의 관계

이용수 129

영문명
A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reactions on Draw-a-Story test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최윤녕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1권 제2호, 267~28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사회불안과 DAS의 반응특성을 파악하여 DAS가 중학생의 사회불안을 진단하는 도구로 서 활용가능성이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355명이었으며, 연구도구 는 Silver의 이야기 그림검사와 청소년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이용 하여 내적일치도와 신뢰도 검증을 하였으며,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상관분석과 t-test,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사회불안의 수준차이를 살펴 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대인 불안의 수준이 높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DAS의 반응특성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정 적인 정서내용과 자기상을 많이 표현하였다. 셋째, 사회불안과 DAS의 정서내용 척도와 자기상 척도는 부적 상 관관계가 있었다. 즉, 사회불안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의 청소년일수록 부정적인 상황이나 부정적인 관계 와 불행한 자기상을 표현하였다. DAS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사회불안 특성과 관련성이 높았다. 넷째, DAS의 14가지 자극그림들 중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낙하산’, ‘칼’, ‘성’ 자극그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DAS 검사가 청소년의 사회불안을 파악하기 위한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the DAS test as an instrument to measure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anxiety by looking into a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reactions on Draw-a-Story test.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55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a city. The instruments included Silver's story and drawing test and an adolescent social anxiet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cross-tabulation on SPSS 18.0. First, in regards to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anxiety,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interpersonal anxiety than male students. Second, in regards to gender differences in reactions on DAS, male students showed more negative emotions and self-images than female students. Third,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ocial anxiety and emotional scale and self-image scale on DAS. That is, the adolescents in the higher social anxiety group described more negative situations, relationships, or unhappy images of self than those in the lower social anxiety group. DAS. DAS was more related to the social anxiety of female students than to male students. Fourth, among 14 stimulus drawings, the higher social anxiety group chose stimulus drawings such as a parachute, a knife, and a castle more than the lower social anxiety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possibility of DAS to be used as an instrument to measure adolescents' social anxie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윤녕. (2014).중학생의 사회불안과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의 반응특성의 관계. 미술치료연구, 21 (2), 267-284

MLA

최윤녕. "중학생의 사회불안과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의 반응특성의 관계." 미술치료연구, 21.2(2014): 267-2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