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얼굴자극그림검사(FSA)의 평가기준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228

영문명
A Study on Development of FSA Evaluation Standard and Its Validation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김순란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18권 제4호, 915~93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1.0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얼굴자극그림검사(FSA)의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FSA 평가기준 개발을 위해 일반초등학생 921명, FSA 평가기준 타당화를 위해 일반초등학생과 장애학생 총 53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초등학생 921명의 FSA 자료를 토대로 3차례 내용타당도 검증 을 통해 36개의 평가기준을 선정하였다. 둘째, 36개 평가기준의 내적일치도에 의한 신뢰도 계수는 정신지체 Cronbach\'α=.90, 청각장애 Cronbach\'α=.89, 일반초등 Cronbach\'α=.77였다. 평가자간 신뢰도는 A-B 91.6%, B-C 92%, C-A 89.9%이며, 평가자내 신뢰도는 97.8%였다. 셋째, FSA 평가기준의 타당화를 위해 36개 문항간의 상관 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코\' 와 \'목\'을 제외한 전체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평가기준의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학생 유형별 FSA 반응특성을 살펴본 결과 그림 1에서는 19개, 그림 2에서는 17개 전 하위요인에서 학생 유형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FSA 평가기준이 준거 집단을 잘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FSA 평가기준은 장애아동의 인지능력 을 평가하는 보조적 진단도구로서의 가치가 타당화 검증을 통해 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to develop a validated evaluation standard of FSA. 921 norm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to develop the evaluation standard of FSA and total 536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order were selected to validate the evaluation standard of FS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36 questions were arranged as the evaluation standard based on the FSA materials of the 921 students by way of three times confirmation of content validity. Seco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b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36 evaluation standards is as follows; mentally-retarded students(Cronbach'α =.90), hearing-impaired students(Cronbach'α=.89), normal students(Cronbach'α=.77). In view of inter-rater reliability, A-B is 91.6%, B-C is 92%, C-A is 89.9% and Intra-rater validity is shown highly(97.8%). Third, In order to validate the FSA evaluation standard,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by way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36 questions and as the resul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all the sub-factors excluding 'nose' and 'neck'. In order to confirm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FSA evaluation standard, the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students is examined out. As the result, Picture 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students in all the 19 sub-factors. And Picture 2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students in all the 17 sub-factors. The discriminan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whether these factors differentiate well and as the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FSA evaluation standard developed in this study is able to discriminate between normal group and handicapped group. In conclusion, it is certain that the FSA evaluation standard have a value of a supportive tool to evaluate the cognitive abilities of the handicapped childre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순란. (2011).얼굴자극그림검사(FSA)의 평가기준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미술치료연구, 18 (4), 915-934

MLA

김순란. "얼굴자극그림검사(FSA)의 평가기준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미술치료연구, 18.4(2011): 915-9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