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문화와 학교생활화(KSD)반응특성과의 관계

이용수 86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Cultur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action Characteristics of Kinetic School Drawing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최외선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16권 제1호, 29~5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1.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문화가 성별, 학년, 임원경험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학교생활화가 학급문화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OO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전체학생 854명이며, 2008년 3월 24일부터 2008년 4월 4일까지 학급문화 검사와 학교생활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요인분석, 빈도분석, t-test, 일원 변량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으로 Scheffe test, 그리고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학급문화는 중상 수준이며, 하위영역별로는 친구지향문화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학습지향문화, 대중문화지향문화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친구지향문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있어서 1학년이 2학년과 6학년보다 학습과 친구 및 대중문화지향문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원 경험유무에 있어서는 임원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학습과 친구 및 대중문화지향 문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화의 28개 변인들이 학습지향문화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력은 78.3%이었으며, 학습지향문화가 낮은 집단은 74.7%, 학습지향문화가 높은 집단은 81%를 예측해 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first, how the classroom cultur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kids could differ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experience of being on the staff an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Kinetic School Drawing(KSD) and the classroom cultur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854 students of all grades in an elementary school in Daegu who took the tests of KSD and the classroom culture from March 24 through April 4 of 2008.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as a post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classroom cultur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shown average or higher with the sub-categorical degrees of friend-oriented culture as the highest, academic-oriented culture the middle, and mass media-oriented culture as the lowest. Second, as to gender, girls regarded the friend-oriented culture higher than boys while 1st graders regarded academic-oriented culture and friend-oriented culture higher than 2nd and 6th graders. The leader group being on the staff of the classroom exhibited a higher degree on academic, friend and mass media-oriented culture than those not on the staff. Third, the 28 variables of KSD showed a discrimination with 78.3% to predict the degree of academic-oriented culture, in that the low level group with 74.4% and the high level group with 81% of prediction. Key Words: Classroom Culture, Academic-Oriented Culture, Friend-Oriented Culture, Mass Media-Oriented Culture, Kinetic School Draw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외선. (2009).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문화와 학교생활화(KSD)반응특성과의 관계. 미술치료연구, 16 (1), 29-51

MLA

최외선.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문화와 학교생활화(KSD)반응특성과의 관계." 미술치료연구, 16.1(2009): 29-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