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공지능의 학업성취에 대한 영향력과 교수?학습에 주는 시사점

이용수 43

영문명
A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s and its implic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장봉석,김진철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21권 제1호, 141~15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1.0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공지능의 프로파일에 따라서 중학생의 학업성취가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도 파주시 M 중학교 1학년 남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중학생용 신종합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이와 함께 2007년 제 2차 경기도학력평가의 결과가 본 연구에 이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에서는 먼저 학업성취에 대한 성공지능의 설명력을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둘째, 지능의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사후검증은 Scheff? 방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지능, 창의지능, 실제지능 모두 학업성취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모든 영역의 성취는 분석지능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과목에 따라서 창의지능과 실제지능의 상관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모든 성취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예언변인 역시 분석지능이었다. 다만 학업성취에 대해 의미가 있는 분석지능과 함께 예언변인으로 기능한 지능은 영어에서는 창의지능이었고, 과학에서는 실제지능이었다. 둘째, 모든 영역에서 분석지능, 창의지능, 실제지능이 ‘상’ 수준으로 구성된 이루어진 균형가(CB) 집단에 속한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학업성취를 보였으며, 분석적 창의가(AC)-분석적 실제가(AP)-저지능(LI) 순으로 학업성취가 나타났다. 그리고 복합형 프로파일(CB, AC, AP)이 저지능 프로파일(LI)보다 높은 성취의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공지능이 중학생들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intelligence and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successful intelligence test developed and revised from the Sternberg's Comprehensive Ability Test and the 2007 province-wide standardized tests. 140 mal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ree statistical methods of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were adopted for the data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found between analytical, creative, and practical intelligence, and student achievements, all of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alytical intelligence, especially, was the most highly correlated variable with all subject areas. In addition, it was also the only predictor in successful intelligence in the achievements of all the subjects. It also revealed that creative intelligence was another predictor to math performance and that practical intelligence was a predictor to science performance. Second, students in the consummate balancer group showed higher achievements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In addition, students in the groups of complex profiles such as creative practitioner, analytical creator, and consummate balancer did better than students in the single profile of low intelligence in the tests. Result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in that successful intelligence could be a good foundation for implement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as a way of matching instruction to the aptitudes of stud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봉석,김진철. (2009).성공지능의 학업성취에 대한 영향력과 교수?학습에 주는 시사점. 교육방법연구, 21 (1), 141-157

MLA

장봉석,김진철. "성공지능의 학업성취에 대한 영향력과 교수?학습에 주는 시사점." 교육방법연구, 21.1(2009): 141-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