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교육 담론에 담긴 학교 교육의 의미 역사적 고찰

이용수 451

영문명
A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discourse on private tutoring with specific reference to its dealing with schooling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강태중, 강충서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3권 제4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1.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광복 이후 사교육 담론이 보여 온 변화를 정리하고 그 변화가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학교 교육이 어떻게 간주되고 취급되었는지 살피는 시각에서 볼 때, 사교 육 담론은 역사적으로 극적인 변화를 보여 왔다. 1960년대까지는 학교가 과외 교습 같은 행 위를 절대 금하도록 요구받았고, 오늘날은 사교육 서비스를 적극적이고도 시장 경쟁력 있게 제공하도록 요구받는다. 이런 반전 과정을 시간을 따라 정리하였고, 그런 변화가 시사하는 사교육 담론의 속성을 논의하였다. 사교육 담론은 정책을 구안하는 양식으로 이루어져 왔고, ‘정책 과제’로 던져지는 문제에 대하여 재고의 성찰 없이 이루어져 왔다. 주어진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대안을 찾는 데 주력하는 담론이었다. 이런 담론은 일단 구축되면 자체적으로 논지를 지키는 규제의 힘을 지니고 있어서, 주어진 문제 자체에 대하여 회의하는 목소리를 억제하였다. 담론은 학교 교 육에 대하여 어떤 의미를 부과하고 있는지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담론은 학 교 교육의 의미를 지속적으로 흔들며 역전시켜 왔다. 이런 변화가 바람직한지 여부에 관계없이, 변화 자체에 대한 진지한 관심과 논의가 필요 하다고 논문은 제안했다. 교육 담론이 다루게 되는 ‘문제’가 왜 문제인지 묻는 것이 교육 탐 구의 본연을 지키는 데 소중하다고 주장했다.

영문 초록

The article examines the flow of the discourse on private tutoring(DPT) in Korea since 1950s,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schooling and the future policy discourse. The focus is on the dramatic historical reverse of the schooling conception implied in DPT. Early in DPT, schools were supposed to repel the after-school practices of private tutoring which were burgeoning at the time. Schools now, however, are encouraged to actively engage in private tutoring business. They are required to be highly competitive in the private tutoring market. DPT has mainly dealt with policy issues. As a consequence, its concern has been not on problem setting but problem solving. It has taken ‘the problem’ of private tutoring for granted. It has focused only on devising means to suppress the rising trend of private tutoring. Schooling has just been one of the means for the given task in DPT. This way of conceiving the problem in DPT has made the distortion of the meaning of schooling unnoticed. The meaning and practices of schooling have come to be contingent upon the current private tutoring issues. As it turns out, the supposed role of schooling in dealing with the problem ha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reversing the one assumed in the beginning. The article suggests that discourses should be attentive to the process of problematization, not to the measures for solving problems. It would be only with the shift of the focus that the discourse can be of value in leading education policy in line with authentic school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태중, 강충서. (2013).사교육 담론에 담긴 학교 교육의 의미 역사적 고찰. 교육사회학연구, 23 (4), 1-28

MLA

강태중, 강충서. "사교육 담론에 담긴 학교 교육의 의미 역사적 고찰." 교육사회학연구, 23.4(2013):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