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시간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 비교연구 ― 한국, 일본, 핀란드 과학성취도를 중심으로 ―

이용수 262

영문명
An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Tutoring Experiences and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cience Achievement: Korea, Finland and Japan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성기선, 김준엽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0권 제1호, 103~12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1.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06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핀란드, 일본 고등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정도 와 과학성취도와의 관련성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세 나라 공통적으로 사교육 참 여시간과 학업성취도는 의미는 있지만 부적관계(negative relationship)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를 표면적으로 해석한다면, 사교육에 참여하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과학과목의 성취도는 오히려 떨어진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각 나라별로 과학 사교육 참여 경향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단순히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를테면 핀란드와 일본은 성적이 낮은 학생이 사교육에 많이 참여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한국의 경우 학업성취도 수준과 관계없이 많은 학생들이 사교육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사교육과 성취도와의 관련성에서 역방향이 나타나고 또 계수의 크기도 상당히 크 게 차이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과학성취도 수준과 의 관련성은 세 나라 모두 높은 편이었다. 다시 말하면 과학효능감과 과학에 대한 즐거움을 많이 갖게 될 수록 학업성취도 역시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교육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 성을 국가 간에 비교하기 위해서는 각 나라별로 성취도에 대한 종단적인 자료가 확보되어야 하며, 국 가별 사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 역시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utoring experiences and achievement in science using PISA 2006(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 Achievement 2006) data, and compare the results among 3 countries: Korea, Japan and Finland. For this purpose we established research model and analysed data using HLM statistical model. In this process we controlled related variables which would affect the students' achievement result, for example ESCS(SES), attitude toward science, self-learning time and school level variables, including location(urban/rural), mean SES and etc. The results of this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science,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is statistically meaningful, but the direction of the effect is negative. So more time spent on private education for science leads to lower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Second, self-learning time variable had a greater effect than the private education variable, and this was common among the three countries. As a result, in general, if students have time to learn independently everyday, this will lead to better results in achievement than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But to investigate the reason why tutoring experiences are related with achievement negatively, we need more affluent data, especially longitudinal data and more concrete understanding of each country's educational tradition, system and culture. Still, these results proved that private tutoring experiences will not lead to higher achievem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기선, 김준엽. (2010).고등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시간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 비교연구 ― 한국, 일본, 핀란드 과학성취도를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 20 (1), 103-126

MLA

성기선, 김준엽. "고등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시간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 비교연구 ― 한국, 일본, 핀란드 과학성취도를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 20.1(2010): 103-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