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學力 개념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이용수 180

영문명
A Sociological Study for the Concept of Scholastic Ability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강창동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0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1.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대사회에 들면서 개인의 재능과 노력에 의해 사회적 신분과 지위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주의 이념이 확산되었다. 능력주의는 學力의 형식적 경력인 學歷에 의해 제도적으로 보증되었다. 근대사 회에서 學歷은 사회적 능력의 대리 지표로 부각되어 學歷主義 인식을 확대하였다. 학력주의는 사회 적으로 ‘學歷=學力=能力’이라는 무의식적 연결 도식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도식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學力 개념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학교교육 측면에서 보면 學力은 學歷 과 能力의 관계를 밝히는 인식의 토대이며, 學歷과 能力은 學力의 전제 위에 성립된 개념이기 때문 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불구하고, 學力에 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 많지 않은 실정이다. 學力은 관점 과 시공간의 위치에 따라 개념적 정의가 달라질 수 있는 탄력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 구 대상이 되기에 까다로운 성격을 가지고 있다. 學歷과 能力의 인식적 토대인 學力에 대한 철저한 과학적 검증의 뒷받침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학력주의에 대한 사회적 믿음은 매우 견고하여 신화에 가까울 정도이다. 사회적으로 학력주의가 정 당화된 것은 學歷은 객관화된 검사인 지능 검사와 시험이라는 과학적 도구에 의해 學力을 보증한 다는 사회공학적 믿음 때문에 가능하였다. 지능 검사와 시험은 자체적 한계로 인해 제한된 능력만 을 검사할 수밖에 없다. 학력주의의 가정인 ‘學歷=學力=能力’은 과학적 신비화가 만든 이데올로기 적 환상에 불과하다. 실제 能力은 學力보다 포괄적 개념이며 學力은 學歷보다 많은 의미를 담고 있 다. 교육의 실제적 능력인 學力이 能力을 보장하기 어려운데 상징적 능력인 學歷이 能力을 보장한 다는 것은 과학적 신비화가 만든 사회적 환상에 가깝다. 따라서 교육의 형식적 경력인 學歷이 신분 과 지위의 사회적 지표가 되는 것은, 형식이 내용을 앞서는 가치전도 현상을 초래하여 사회적 피로 감을 가중시킬 것이다. 學歷主義라는 형식보다 學力主義와 能力主義라는 내용이 우선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concept of meritocracy, under which individual ability and effort play a key role in determining an individual's social status and position, has proliferated since the advent of modern society. Meritocracy was institutionalized by school career, the formal record of one's scholastic ability. The school career in modern society functions as an index of social ability, and this has expanded the belief in credentialism. Credentialism has socially intensified a unconscious connection schema that school career, scholastic ability, and ability are identical. However, before such a schema can be formed, a thorough analysis on scholastic ability must be preceded. This schema, formed under credentialism, is nothing but an ideological illusion formed by scientific mystification. In fact, ability is a more inclusive concept than scholastic ability, and scholastic ability is more significant than school career. Scholastic ability, which is an assessment of one's true educational ability, cannot guarantee one's ability, and likewise, school record, as a symbolic measure of ability, cannot guarantee one's scholastic ability. Therefore, when school career, which is a formal record of one's education, functions as a social index of social position and status, it results in the existing condition where the form precedes the content, and therefore consequently increasing social fatigue. A change in perception is required so that content, or scholastic ability and ability, is put before form, or school careeris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창동. (2010).學力 개념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0 (1), 1-24

MLA

강창동. "學力 개념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0.1(2010):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