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고등학생의 교육결과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이용수 456

영문명
The impact of cultural capital on educational outcom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변수용, 김경근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18권 제2호, 53~8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1.0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급문화활동으로 정의된 문화자본이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교육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부모의 교육수준과 경제자본이 그들 자신 및 자녀의 문화자본 형성에 큰 영 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그런데 부모의 고급문화에 대한 참여가 증가하면 자녀의 고급문화에 대한 참여도 증가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부터는 자녀의 고급문화에 대한 참여가 오히려 감소했다. 부모 및 자녀의 고급문화 참여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비선형적 관계는 자녀의 고급문화활동과 학업성취 사이에서도 목도되었다. 그리하여 자녀의 고급문화활동은 학업성취에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만,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입 시위주 교육이 대세를 이루는 한국의 교육 현실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즉 대학입시 준비 에 매진해야 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경우, 부모와 동일한 방식이나 빈도로 고급문화를 즐길 수 없고, 지나친 문화활동 참여는 오히려 학업에 방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능의 수리 및 외국어 영역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부모를 둔 자녀들이 교육수준이 낮은 부모를 둔 자녀들에 비 해 문화자본을 통해 학업성취에서 추가적인 이득을 얻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부모 및 자녀 의 문화자본은 모두 위세가 높은 4년제 대학으로의 진학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ultural capital (measured by participation in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on educational outcomes of academic high school seniors' educational outcomes in South Korea. Using representative data from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the authors found that parental education and family incom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arents' and children's cultural capital. Parents' cultural capital, however, has a curvilinear relationship with children's cultural capital, suggesting that South Korea students do not enjoy high-brow culture as frequently as their parents do. This curvilinear relationship was also found between children's cultur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indicating that children's participation in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has diminishing returns for academic achievement. These findings may be explained by the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 where the majority of South Korea students, especially, those academic high school seniors, spend most of their waking hours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e.g., particularly by participating in various types of private tutoring, often referred to as shadow education). Students' frequent participation in high-brow culture may cost time which otherwise could have been devoted to study. As a result, students who spend too much of their time participating in high-brow culture may be academically disadvantaged. Meanwhile, results show that with respect to Mathematics and English achievement, those children with more educated parents benefit more from cultural capital than those children with less educated parents do, supporting Bourdieu's cultural reproduction view. Finally, results show that both parents' and children's cultural capital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ransition to a 4 year and selective colleg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수용, 김경근. (2008).한국 고등학생의 교육결과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8 (2), 53-82

MLA

변수용, 김경근. "한국 고등학생의 교육결과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8.2(2008): 53-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