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사회학 이론의 반성적 검토: 사회변혁을 위한 이론을 지향하며

이용수 288

영문명
A reflective review of sociology of education for social reform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오욱환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16권 제4호, 159~18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1.0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교육사회학계는 이론 논쟁의 풍토를 갖고 있다. 이 전통에 힘입어, 한국의 교육사회학자들 은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직시하고 비판하는 데 충실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분위기 가 줄어들면서 교육사회학의 정체성까지 희미해지고 있다. 이 글은 한국 교육사회학계가 교육의 ‘현 실에 대한 비판’과 ‘발전을 위한 변화’의 견인차 역할을 회복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론 논쟁을 불러 일으키고자 한다. 구조기능주의 교육사회학을 비판하면서 강한 인상을 남겼던 구조론적 마르크스주 의를 되새긴 후, 사회변혁을 위한 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변혁적 교육사회학 이론은 교 육이 사회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1)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주체로서 인간의 존재를 확인하며, (2) 전면전(全面戰)과 기동전(機動戰)에 의한 전복적(顚覆的) 사회변화를 극복하고 실질적 인 인본주의 사회 건설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방향으로 구상된다. 이 글을 통해서, 지배집단의 이데 올로기 독점을 불가침의 철칙으로 받아들이는 구조론적 마르크스주의 교육사회학이 비판된다. 이 글을 통해서 어떤 집단도 이데올로기를 독점할 수 없음을 강조하고, 피지배집단의 이데올로기가 대 항력을 갖추어 국가권력을 지배하기 위한 이데올로기 주도권 쟁탈이 집단들 사이에 일어날 수 있음 을 부각한다. 어떤 유형의 교육도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교육은 본질적으로 헤게모니 과정임을 밝힌다. ‘헤게모니로서 교육’은 곧바로 교육이 사회 유지나 변화와 직결됨을 의 미한다. 교육은, 사회의 존속과 유지에 공헌해 왔듯이, 사회변혁을 이끌 수 있다. 교육이 사회변혁을 주도하려면 무엇보다 먼저 교육이 적극적, 역동적, 능동적으로 재개념화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Sociologists of education in Korea have enjoyed theoretical discussion and debate. Based on this argumentative climate, they can develop their own viewpoints and academic insights. Also they can find their own way out of dogma. Nowadays however, the tradition has slowly disappeared ever since they became infatuated with descriptive and fact-finding research projects. As the result, their papers and presentations cannot set off argument, discussion, or debate. Therefore, I want to invoke theoretical discussion and debate through reviving an authentically disputable topic in sociology of education, Marxist sociology of education. Marxist sociology of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versions according to how they define and interpret ‘ideology’: structural and ideological Marxist sociologies of education, which I respectively renamed ideology-monopoly theory and ideology-hegemony theory. According to ideology-monopoly(structural Marxist) sociologists of education, the ideology of ruling class pervades, dominates, and functions as frame of reference and habitus. And schooling is the most effective and legitimated way of disseminating the ideology to the ruled class. However, the ideology-hegemony(ideological Marxist) sociologists of education reject the soleness of the ruling-class ideology in society and argue that the ruled class also have their own ideology, which can counter the ruling ideology. They suggest the possibility of social transformation through education. I try to rename it ‘transformative education’.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ve education theory, every educational process should be either to domesticate the people or to liberate them. If we re-conceptualize education positively, actively, and dynamically and broaden its realm unlimitedly, education can be a camp for agents initiating social change and the site of ‘war of position’, which is a possible and realistic strategy in modern society. Through transformative education we can wish for 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욱환. (2006).교육사회학 이론의 반성적 검토: 사회변혁을 위한 이론을 지향하며. 교육사회학연구, 16 (4), 159-183

MLA

오욱환. "교육사회학 이론의 반성적 검토: 사회변혁을 위한 이론을 지향하며." 교육사회학연구, 16.4(2006): 159-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