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직수업에서 토의법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이용수 388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Discussion Methods in Teaching Profession Course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박혜진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28권 제2호, 139~16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의 교직수업에서 토의법을 적용한 수업의 수업 운영 설계 측면, 성찰 분석 등을 통한 효과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충청북도지역 A대학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수업을 수강한 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수업이 종료되고 난 후의 강의평가 결과(점수)와 성찰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의 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수업 시행 이전의 교수자의 철저한 사전 준비가 요구된다. 즉, 실제 수업 실행에 앞서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사전지식을 고려하여 학습자 모두가 균형적으로 토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합한 주제 선정과 토의 활동지 제작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둘째, 토의 수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 효과의 극대화한 교수-학습 측면의 환경 설계가 필요하다. 토의를 참여하는 구성원들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사전에 소집단 내에서 교수자의 역할을 대신할 학습자를 잘 선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소집단 상호작용에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효과도 상승할 수 있다. 셋째, 토의 활동 시 학습내용을 기반으로 한 토의 주제에 따라 개인적 성찰과 협력적 성찰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 토의 활동을 통해 협력적으로 공유된 지식이나 의미를 재형성할 수 있는 과정을 통 해 학습 내용적 측면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성찰 활동을 적극적으로 도울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토의 수업 시 교수자는 토의 활동이 일어나는 환경을 잘 관찰하고, 토의 활동이 종료되고 난 후, 의견이 공유되는 과정에서 오류를 재확인하고, 비판적인 피드백 보다는 개선적이고 보완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적극적인 토의 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지도 할 필요성이 있다. 결론: 토의수업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수업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설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로 분류하여 상황에 따른 교수전략과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철저한 수업 설계안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discussion through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reflection. Method: The results of the lecture evaluation and reflection on the discussion class during the 4th semester were analyzed. Results: First, Before the discussion, the preparation of the instructor is important. Learner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o support discussion activiti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for the interaction effect. Third, there is a need to support both personal and cooperative reflection. Fourth, professor and learners must stick to their respective roles for successful discussions. The facilitator needs the role of the facilitator so that the learner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Specific feedback from the professor on the discussion activity was required. Conclusion: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discussion classes, specific instructional design was needed and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should be utiliz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ter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토의 수업 설계 전략
Ⅲ. 수업 운영 결과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혜진. (2018).교직수업에서 토의법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혁신연구, 28 (2), 139-161

MLA

박혜진. "교직수업에서 토의법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혁신연구, 28.2(2018): 139-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