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平面 ‘ㅏ’字形 主副槨式 墳墓의 築造背景과 意味

이용수 31

영문명
The leading motive and meanings to be appear[ㅏ] shape chamber tombs with vice one in a plane figure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권용대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72집, 53~8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평면 ㅏ字形 주부곽식 분묘는 신라문화권에 분포한다. 대부분 중ㆍ대형분에 해당하며, 위석목곽묘와 적석목곽묘, 석곽묘에서 확인된다. 유물은 규모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지만 관모류와 금속용기류가 부장되지 않으며, 경주의 중심지 상위 등급 분묘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그리고 묘제의 종류, 상면시설의 부석범위, 유물 부장양상 등은 집단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ㅏ字形 주부곽식 분묘는 5C 후반대부터 6C 전반대까지 축조되며, 특정지역의 일부 등급에서만 확인된다. 따라서 ㅏ字形 주부곽식 분묘는 시간성, 공간성, 사회성을 모두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발굴자료를 통하여 볼 때, 5C~6C대 신라의 분묘는 봉분의 규모와 묘곽의 면적에 따라 내부구조, 부장유물에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늦어도 5C중반대에는 피장자의 등급에 따라 분묘의 규모, 관ㆍ곽의 수, 부장품의 종류와 양에 규제가 가해졌던 것으로 파악된다. 평면 ㅏ字形 주부곽식 분묘 역시 이와 관련된 규제 이래에서 출현한 것으로 생각되며, 異穴ㅏ字形 주부곽식 분묘에서 계보를 구할 수 있다. 중ㆍ하위 분묘 중에서도 피장자의 품직이나 사회적 지위, 경제력 등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었던 등급에서 ㅏ字形 주부곽식을 축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ㅏ’korean character shape wooden chamber tombs with vice one in bird s sight have almost concentrated in Geongju Sara-ri, Ulsan Joongsan-ri and Milyang Sinan site belong to Sila cutural scope. It has shown the tombs were spreaded to Daegu Gacheon-dong, Seongju Seongsan-dong and Geunwi Gogok-ri. It had been built in tumulies middle size and more in surrounded stone wooden chamber tomb, filed stone wooden chamber tomb and stone chamber tomb. The burial accessories are shown a little difference each mound volume belonged to. It hasn t seen to be buried with some kind of crown ornaments, metal vessels. It hasn t excavated to upper grade tumulies in the central of Geongju. There are group-characteristics influenced by grave style differences, setup form on chamber, burial accessories etc.. The ‘ㅏ’ shape wooden chamber tombs with vice one had been built in certain resion from the latter half level of 5C to the earlier half level of 6C. It seems to be adopted the tombs in limited social grade only. So I m sure that the ‘ㅏ’ shape- tombs had been shown all of space-time, society in those days. According to the excavation results, it is clear to differences which of inner structure, grave goods as volume of Sila tumulies in level of 5~6C. It s possible to prove that social politic status for remains had controled volume of grave, amount of coffin chamber, sort amount of grave goods etc.. It s possible the ‘ㅏ’ shape- in a plane figure appear under the control also. We can find out origin of the tombs to ‘ㅏ’ shape- on different trench. It seems to prove the ‘ㅏ’ shape wooden chamber tombs with vice had been held to the grade that had occuppied social politic status, economic power etc. in middle and low level tombs also.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遺蹟檢討 및 遺構分析
Ⅲ. ㅏ字形 主副槨式 墳墓의 築造背景과 意味
Ⅳ.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용대. (2008).平面 ‘ㅏ’字形 主副槨式 墳墓의 築造背景과 意味. 고문화, 72 , 53-82

MLA

권용대. "平面 ‘ㅏ’字形 主副槨式 墳墓의 築造背景과 意味." 고문화, 72.(2008): 53-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