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분원리 백자청화 태토와 유약의 화학성분 및 미세구조 연구 - 명ㆍ청대 백자청화와의 비교

이용수 216

영문명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of body of blue & white porcelain and glaze of Bunwonri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ir micro structure - Comparison between blue & white porcelain of Bunwonri and that of Ming Ching-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김익환,김예진,강지윤,고경신,안상두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72집, 83~11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분원리는 조선후기 마지막관요로서 1752년 금사리에서 분원리로 사옹원의 분원을 옮긴 이래 1884년 민영화되기까지 약130여 년간 운영되었던 요지로 가장 많은 백자청화를 제작했던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금번 백자청화의 분석연구를 위하여 분원리 백자청화 22편의 도편을 태토, 유약의 화학성분분석과 더불어 미세구조의 관찰 , 재번조 실험을 통한 번조온도의 추정 등 분원리 백자의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명ㆍ청대 백자청화의 분석데이터와 분원리 도편의 분석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태토와유약의 화학성분을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분원리 백자청화는 대체적으로 고온하에서 자화가 비교적 잘 이루어 졌으나 태토의 수비는 중국에 미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중국과 조선의 태토조성방법의 차이점과 명ㆍ청대 번조온도가 분원리보다 높았던 원인도 밝혀내었다. 또한 분원리와 명ㆍ청대유약조성의 차이점도 알게 되었고, 명ㆍ청대유약과의 연관성도 알게 되었다. 광학현미경을 통한 태토와 유약의 미세구조분석결과 비교적 자화가 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재 번조 실험을 통하여 분원리 도편중 BW1-2는 약 1200℃ 정도에서 번조가 이루어졌음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Bunwonri is the last official kiln. It had run for more than 130 years as an important place and most of blue & white porcelains had manufactured here since the branch of Saongwon in Keumsari was moved to Bunwonri in 1752 and came under privately management in 1884. For analyzing characters of blue & white porcelain, 22 shards and chemical compositions with micro structure of bodies and glazes of them were observed. Additionally, firing temperature was deduced through refiring test. The analyzed materials of Bunwonri was compared with that of MingㆍChing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bodies and glazes were researched comparatively.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revealed that blue & white porcelain of Bunwonri was magnetized well in high temperature, in contrast, refining of body was not as good as blue & white porcelain of MingㆍChing. The difference of method for making body was discovered and the reason why firing temperature of MingㆍChing was higher than that of Bunwonri. Difference of method of making glaze of MingㆍChing and that of Bunwonri were confirmed and connections between two were defined. The fact that magnetization was pretty fine was shown through the micro structure analysis using an optical microscope, in addition, the fact that sherd of Bunwonri BW1-2 was firing about 1200℃ was informed through refiring experimen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분석도편과 가시적 특성
Ⅲ. 실험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익환,김예진,강지윤,고경신,안상두. (2008).조선후기 분원리 백자청화 태토와 유약의 화학성분 및 미세구조 연구 - 명ㆍ청대 백자청화와의 비교. 고문화, 72 , 83-113

MLA

김익환,김예진,강지윤,고경신,안상두. "조선후기 분원리 백자청화 태토와 유약의 화학성분 및 미세구조 연구 - 명ㆍ청대 백자청화와의 비교." 고문화, 72.(2008): 83-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