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요령~길림지역 청동도자의 형식과 시공간적 양상

이용수 32

영문명
Classification and regional aspects of the bronze hand knife in Liaoning and Jilin provinces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오강원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61집, 67~9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동기시대 요령~길림지역에서는 비파형동검을 위시한 특징적인 정동기유물이 유행하였는데, 이중 청동도자는 기종의 특징상 정동기화의 진행수위와 관련 유물복합의 경제활동을 짐작케 한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미를 갖고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인식하에 청동도자를 손잡이부의 형태를 제1기준으로 하여 ?柄銅刀(A형), 食刀柄銅刀(B형), 匙柄銅刀(C형), 獸柄銅刀(D형), 齒柄銅刀(E형), 釘孔柄銅刀(F형), 穿孔柄銅刀(G형), 環首銅刀(H형), 鉤柄銅刀(Ⅰ형), 鈴首銅刀(J형)의 10개형으로 분류하였다. 아울러 위의 형중 다른 형에 비해 제작기간이 길거나 속성의 폭이 넓은 獸柄銅刀, 齒柄銅刀, 穿孔柄銅刀, 環首銅刀의 경우, 손잡이부와 손잡이 머리부의 세부적인 차이에 따라 2-3개 형식으로 세분하였다. 요령~길림지역 청동도자의 공반유물은 기술적인 혁신과 시대성을 강하게 띄고 있는 유물을 기준으로 할때 전체 5개의 공반단계로 획기된다. 제Ⅰ단계는 魏營子와 高臺山類의 유물 및 고식의 청동손칼(DI, EI, G, HI, J)이 공반하는 단계로서 시간범위는 기원전 12-10세기이다. 제Ⅱ단계는 비파형동검 관련유물과 Ⅰ단계 보다 발달된 형식의 청동도자(A~D, EⅡ, EⅢ, Ⅰ)가 공반하는 단계로서 기원전 9-8세기 중반이다. 제Ⅲ단계는 비파형동검과 청동검병 및 새로운 형식의 청동도자(EⅢ, F)가 공반하는 단계로서 기원전 8세기 후반~6세기 전반이다. 제Ⅳ단계는 앞의 유물 외에 후기북방계유물 및 새로운 형식의 청동도자(HⅢ) 등이 공반하는 단계로서 기원전 6세기 중반~5세기이다. 제Ⅴ단계는 토착적인 성격의 유물과 戰國燕系遺物 및 일부지역에서 특정형식의 청동도자(EⅢ, F)가 공반하는 단계로서 기원전 4-3세기이다. 단계별 공간양상은 제Ⅰ,Ⅱ단계에는 요서지역에만 배타적으로 분포하다가, 제Ⅲ단계로부터 요동과 길림 중부지역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요서 이외의 지역중 길림 중부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Ⅴ단계에 이르기까지 청동도자의 제작이 제약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다. 아울러 요동의 남부와 동부 및 길림 동부지역에서는 정동도자가 전혀 제작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요서지역을 청동도자 제작의 중심지역으로, 길림중부지역을 부차적인 유행지역으로, 요동의 남부와 동부 및 길림 동부지역을 불모지역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길림 중부지역은 Ⅲ식의 치병동도와 정공병동도가 집중적으로 유행하였다는 점에서 해당 형식의 중심지역으로 볼 수 있는데, 이중 Ⅲ식의 치병동도는 여러 면을 고려하여 볼 때, 大凌河流域의 遼西 보다는 老哈河流域 (寧城, 建平 北部)과 연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bronze hand knife is classified into 10 types in Liao-Ning and Ji-Lin provinces in the Bronze Ages; Bronze hand knife with hanging knob in the handle(Type A), with handle similar to the kitchen knife handle(Type B), with spoon-shaped ornament on the end of the handle(Type C), with animal-shaped handle(Type D), with teeth-shaped projection in handle(Type E), with fixing nail hole for hanging(Type F), with hanging hole on the end of handle(Type G), with round ring on the end of handle(Type H), with hanger on the end of handle(Type Ⅰ) and Bronze hand knife with bells on the end of handle(Type J), based on the shape of the handle as the first standard. Besides, in case of Type D, E, G and H of longer production period or with the broader width of attributtes the other types, it is classified into two to three sub-types according to the detailed differences in the handle. The bronze artifacts associated with knives are classified into five assemblage stages as a whole. The first stage, when remains of Weiyingzi and Gaotaishan and old-fashioned bronze hand knives(DI, EI, G, HI, J) assembled, runs from the 12th century B.C. to the 10th century B.C .. The second stage, as a stage where bronze hand knife of more advanced types(A~D, EⅡ, EⅢ, Ⅰ) and the remains related to the mandolin shaped dagger, runs from the 9th century B.C. to the middle 8th century B.C.. In the third stage, from late in the 8th century B.C. to early in the 6th century B.C., the mandolin shaped dagger, bronze dagger s handle and newly typed bronze hand knives(EⅢ, F) coexisted. The fourth stage, when late northern style remains and bronze hand knives(HⅢ) of the new types assembled, is from the middle 6th century to the 5th century. As a stage when native remains, Zhan-Guo Van style remains and bronze hand knives(EⅢ, F) assembled, the fifth stage runs from the 4th century B.C. to the 3th century B.C .. As for the regional aspects by stages, the bronze hand knives were distributed exclusively in Western Liao-Ning province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then diffused to the Eastern Liao-Ning and middle part of Ji-Lin provinces from the third stage. In addition, no bronze hand knife was produced in the southern and eastern parts of Eastern Liao-Ning and eastern part of Ji-Lin. Therefore, the western Liao-Ning province can be viewed as the central place of the production of bronze hand knife, the middle part of Jin-Lin as secondary prevalent region. But the middle part of Ji-Lin province can be seen as the central place of the Type E and Type FⅢ. And considering many aspects, Type EⅢ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reaches of the Lao-Ha river.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형식분류
Ⅲ. 공반단계와 편년
Ⅳ. 시공간적 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강원. (2003).요령~길림지역 청동도자의 형식과 시공간적 양상. 고문화, 61 , 67-93

MLA

오강원. "요령~길림지역 청동도자의 형식과 시공간적 양상." 고문화, 61.(2003): 67-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