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진 월남사지 출토 금동풍탁 제작에 적용된 주조와 도금방법 연구

이용수 166

영문명
Study of Casting and Plating Methods Used in Production of Gilded Bronze Wind-Chime Excavated at Wolnamsaji Temple Site in Gangjin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이재성,전익환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90집, 25~4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강진 월남사지에서 출토된 금동풍탁은 방형의 각 면에 범자를 새기고, 외관을 금으로 도금한 풍탁으로 현재까지 출토된 풍탁들 중에서도 큰 것에 속한다. 금빛의 대형 금동풍탁은 전성기 월남사의 규모와 높은 사격(寺格)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이처럼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금동풍탁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제작에 적용된 주조와 도금방법을 살펴보았다. 금동풍탁은 액상의 청동합금을 형틀에 부어 비교적 천천히 냉각시켜 만든 것으로 고온에서의 단조 작업이나 담금질은 수행되지 않았다. 천판을 보수한 부분은 탁신과는 다른 성분 함량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탁신과 천판에 사용된 재료가 동일한 재료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천판에 사용된 재료는 몸체를 주조한 이후에 보수하기 위해 사용된 재료이다. 높이 23㎝에 이르는 대형의 금동풍탁 탁신에 범자를 새기고, 테두리에는 세밀한 뇌문(雷文)을 주조하기 위해서는 융점을 낮추고 주조 능력을 높일 수 있는 청동합금이 필요했으며, 이를 위해 ‘구리-주석-납’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주석과 납은 바탕금속과 금도금층 간의 결합력을 저하시켰으며, 현재 대부분의 도금층이 박락되었다는 점도 다량으로 포함된 주석과 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도금은 두께 1㎛ 내외의 매우 얇고 균일한 금박(金箔)으로 도금하였으며, 도금 방법으로 금박을 표면에 입히는 금박도금법이 적용되었다. 금의 순도는 약 97wt%로 분석되었고, 수은(Hg)은 검출되지 않았다. 금도금층에서 수은이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도금층과 바탕금속 사이를 접합시켜주는 물질의 존재 여부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었다. 단, 도금층이 벗겨진 표면에 남아있는 짙은 회색의 층에서 금박보다 높은 함량의 탄소가 검출된다는 분석 결과는 칠박도금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 표면에 음각으로 새겨진 ‘盖天(개천)’이라는 명문은 끝이 뾰족한 삼각형 모양의 정을 이용해 일직선으로 가늘게 파낸 모조각 (毛彫刻) 기법이 사용되었다. 음향 도구인 철제 치게는 탄소함량이 낮은 연철을 소재로 형태를 제작하고, 재질의 강도 보강을 위한 침탄과 담금질 등 추가 열처리는 없었다.

영문 초록

The gilded bronze wind-chime, inscribed with Sanskrit characters on each of four faces and plated with gold on the outside, is among the largest wind-chimes excavated so far. This large and golden gilded bronze wind-chime is an artifact attesting to the scale and stature of Wolnamsa temple at its height. The gilded bronze wind-chime, having such important significance, was analyzed using scientific methods to investigate the casting and plating methods applied in its production. The windchime was produced by pouring a bronze alloy in liquid state into a mold and cooling the metal at a relatively slow rate. No high-temperature forging or quenching was performed. A section of the top plate that was repaired exhibits differences in composition from the rest of the body, indicating that the materials used for the top plate and the body were not the same. That is, the material used in the top plate is a material used for repairs after casting the body. The gilded bronze wind-chime contains upwards of 10wt% tin. In order to inscribe Sanskrit on the wind-chime, which measures some 23㎝ high, along with fine fretwork along the edges, a bronze alloy with a low melting point and superior castability was required. To this end, an alloy containing ‘copper-tin-lead’ as its main component as used. However, tin and lead lowered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base metal and gold plating layer, and it appears that the current exfoliation of most of the plating layer owes to the high content of tin and lead. Plating was carried out using very thin and uniform gold leaf around 1㎛ in thickness. As for the plating method, the gold leaf plating wherein golf leaf is applied to the surface was used. The gold was analyzed to be approximately 97wt% pure, and no mercury (Hg) was detected. As no mercury (Hg) was detected in the gold plating layer, it could not be ascertained as to whether a substance was used to bind the plating layer to the base metal. However, high carbon content was detected in the dark gray layer left on the surfaces where the plating layer had pealed off,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lacquer gilding. The characters ‘盖天’ engraved into the surface were created with the hairline engraving technique in which a sharp, triangular-shaped chisel head is used to engrave thin, straight lines. The iron rod used with the chime to produce sound was shaped using pure iron with low carbon content, and was not subjected to additional heat treatment such as carburizing or quenching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연구 방법
Ⅲ. 과학적 분석 결과
Ⅳ. 고찰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성,전익환. (2017).강진 월남사지 출토 금동풍탁 제작에 적용된 주조와 도금방법 연구. 고문화, 90 , 25-49

MLA

이재성,전익환. "강진 월남사지 출토 금동풍탁 제작에 적용된 주조와 도금방법 연구." 고문화, 90.(2017): 25-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