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재 복원에 사용하는 접착재료의 유해성과 작업환경

이용수 131

영문명
Hazard of adhesive materials and working environment for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장성윤,조주혜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90집, 51~6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문화재 복원에 사용되는 접착재료의 유해성을 검토하고 실제 현장에서 작업자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문화재 보존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접착제와 퍼티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접착제 3종(Loctite 401, Cemedine C, Araldite rapid)과 퍼티 2종(CDK-520, Araldite SV427-2/HV427-1)을 대상재료로 선정하였다. 이들 접착제에서 방출되는 총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양과 종류를 측정한 결과, 보존처리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Loctite 401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Cemedine C,CDK-520, Araldite SV427-2/HV427-1, Araldite rapid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최초 사용 후 4시간에 가장 높은 방출량을 보였고 8시간, 168시간에는 급격히 낮아졌는데 현장에서 접합과 복원작업을 수행하는 초기 4시간 동안 작업자가 높은 함량의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접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방출된 성분들은 대부분 유해인자로 알려진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톨루엔 등이다. 또한 문화재 복원 현장에서 작업자가 이러한 유해인자에 얼마나 노출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한 작업환경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접착제의 사용량과 종류, 환기 여부, 작업장과 창문의 위치 등에 따른 변수가 나타났고, 그 중 유해성분을 포함한 접착제의 사용량이 많을수록, 환기가 안 될수록 접착제와 유기용제에서 방출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작업장 내에 남아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대상 문화재에 적합한 접착제 중 유해성분이 적은 접착제의 선택, 환기가 될 수 있는 공간적 배려, 작업자 스스로의 주의와 보호구 착용 등의 사전 예방조치를 통해 안전한 문화재 복원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을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azards of the adhesive materials used for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analyzed whether they could affect workers in the field. First, three adhesives (Loctite 401, Cemedine C, Araldite rapid) and two putties (CDK-520, Araldite SV427-2/HV427-1) were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the most commonly used adhesives and putties in conservation field.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TVOC) of these adhesives, the most widely used Loctite 401 showed the highest content, followed by Cemedine C, CDK 520, Araldite SV427-2/HV427-1 and Araldite rapid. The highest emission of TVOC was observed at the first 4 hours and decreased rapidly at 8 hours and 168 hours. It was found that the workers could contact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with high contents during restoration. Particularly released components are aceto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benzene, toluene which are known as harmful factors. The working environment was measured by the method specified by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se VOCs could affect workers at the field. The results showed many variables depending on the usage amount and type of adhesive, ventilation, and location of the workplace. Among them, the higher the amount of adhesive used and less ventilated, the more likely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leased from adhesives and organic solvents remain in the workpla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safe and efficient working environment for conservation should be created through preventive measures including the selection of adhesives with less harmfulness, better ventilation facility, worker s own attention and protective equipmen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접착제 사용 현황
Ⅲ. 연구대상 및 방법
Ⅳ. 분석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성윤,조주혜. (2017).문화재 복원에 사용하는 접착재료의 유해성과 작업환경. 고문화, 90 , 51-65

MLA

장성윤,조주혜. "문화재 복원에 사용하는 접착재료의 유해성과 작업환경." 고문화, 90.(2017): 5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