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폭력매체 영향평가 측정도구 개발

이용수 65

영문명
Development of Scale for Measuring Media Violence Factor Related to Juvenile Delinquency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김헌수 김현실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39권 제1호, 34~45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01.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청소년 비행 및 범법행동의 주요요인으로 최근 인식되고 있는 청소년에 대한 폭력매체의 영향정도를 평가 하는 도구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방 법: 서울 및 지방의 소아·청소년 정신과 외래 방문 청소년 4명과, 중·고교에 재학중인 학생청소년 4명, 분류 심사원 및 소년원에 재소중인 비행청소년 4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인면담 내용과 관련문헌 고찰 을 근거로 폭력매체에 대한 모방충동, 모방도, 관심도 및 노출도 4개 영역의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된 예비 도구를 작성하였다. 다음 단계로 본 예비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는데 도구의 타당도 검증은 전문가 집단에 의한 내용타당도와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은 검사–재검 사 신뢰도, 내적 일관성 정도 및 각 문항과 요인간의 상관계수를 조사하였다. 이상의 검증과정을 통하여 문 항의 내용이 중복되거나 측정하고자 하는 주제와 관련성이 없는 4개 문항을 제외시킨 37개 문항을 청소년에 대한 폭력매체의 영향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최종도구로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상황에서의 최종도구의 변별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학생청소년군과 비행청소년군 2,177명을 대상으로 본 도구를 이용한 설문조 사를 실시한 후 t 검정을 하였다. 결 과: 1) 최종 확정된 도구는 총 37개 문항 4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요인들의 총설명변량은 44.9% 였다. 또한 37개 문항들은 모두 각 요인에 .40 이상의 유의한 적재량을 보였다. 2) 4개 요인중 요인 Ⅰ은“폭력매체에 대한 모방정도”로 명명하였고 총 1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인 Ⅱ는“폭력매체에 관한 관심도”로 총 14개 문항, 요인 Ⅲ은“폭력매체에 대한 노출정도”로 총 5개 문항 그리고 요인 Ⅳ는“폭력매체에 의한 공격성 순화 정도”로 총 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본 도구의 37개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 coefficient alpha값이 0.932였으며, 각 요인별 신뢰도는 요인Ⅰ이 .900, 요인 Ⅱ가 .906, 요인 Ⅲ이 .737, 그리고 요인 Ⅳ는 .614이었다 4) 본 도구의 변별력을 확인하기 위해 학생청소년군과 비행청소년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인별 차이 검정 결과 요인 Ⅰ, 요인 Ⅱ, 요인 Ⅲ 및 요인 Ⅳ 모두에서 학생청소년군과 비행청소년군간에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 결 론: 1)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를 다른 대상자에게도 반복적용하여 연구함으로써 계속적인 신뢰도와 타당 도 검증이 필요하다. 2) 이상적인 도구평가 기준은 신뢰도와 타당도 뿐만 아니라 단순성, 효율성, 객관성 등까지도 고려되어져 야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본 도구는 계속적 수정, 보완이 필요하며 이 과정을 통하여 측정오차를 최대한으 로 줄인 보다 실제에 근접한 도구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3) 유해사회환경의 일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는 폭력영상매체 및 인쇄문화는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 며 인간의 행동과 생활에 미치는 그 파급효과는 실로 지대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도구는 계속적인 발전 과 검증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만이 폭력 매체의 악영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기에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The concern about possible links between media violence in such as TV, video and real violence has been most pointedly voiced by parents, teachers and social scientists. The result of social science research also has been consistent with the conclusion that viewing criminal and violent behavior on television can, under some conditions, cause some children and young adults to behave aggressivel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influence of the media violence on juvenile delinquency. Methods:This study was methodological research for developing the measuring instrument for assessing media violent factor related to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and personal interview using open-ended question with 12 adolescents in schools, outpatient clinics and juvenile corrective institutions, the author develope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ith 37 items for measuring media violence factor influenced upon juvenile delinquency. For evaluating this questionnair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were test-retest reliability, factor analysis for construct validity and t-test for mean difference between student adolesc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using SAS program. Subjects serv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177 adolescents including 1,206 students and 971 delinquent adolescents by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Results:1) Four stable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se contributed 50.2% of the variance in the total score. All 37 items loaded above .40 on each respective factor. 2) Factor Ⅰ was named as modelling to media violence(13 items), factor Ⅱ was named as exposure to media violence(14 items), factor Ⅲ was named as interest to media violence(5 items), and factor Ⅳ was named as catharsis due to media violence(5 items). 3) Comparison of these factors between student adolesc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tor Ⅰ[t=-29.71 (student), -30.24(delinquent), p=0.0001], factorⅡ[t=-22.42(student), -22.07(delinquent), p=.0001], factor Ⅲ[t=-5.47(student), -5.39(delinquent), p=.0001], and total score [t=-24.33(student), -24.24(delinquent), p=.0000]. 4) Cronbach’s alpha coefficiency for internal consistency was .93 for total 37 items, and .900, .906, .737 and .614 for each 4 factors of media violence related to juvenile delinquency. Conclusions : hrough comparison study using this scale between student adolesc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the delinquent adolescent showed higher score in media violence factors than student adolescents. Therefore, the author suggested that this scale has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suitable for measuring the influence of media violence upon juvenile delinquency.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헌수,김현실. (2000).청소년의 폭력매체 영향평가 측정도구 개발. 신경정신의학, 39 (1), 34-45

MLA

김헌수,김현실. "청소년의 폭력매체 영향평가 측정도구 개발." 신경정신의학, 39.1(2000): 34-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