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國農耕社會의 成立

이용수 1188

영문명
The Formation of Agricultural Society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안재호(Jaeho Ah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43집, 41~6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10.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반도 중부이남지역의 農耕社會는 遺蹟의 立地와 石斧의 型式에 따라, 平地型聚落의 田作(渼沙里·大坪里遺蹟), 山地型의 火田耕作(白石洞遺蹟), 丘陵型의 水田作(玉峴遺蹟)이라는 3類型으로 模型化할 수 있다. 최초의 農耕社會즉 무문토기시대 早期는 몇몇 平地型聚落에서 共通的으로 보이는 渼沙里式住居址의 突帶文土器文化로서, 한반도 압록강유역 또는 요동지방과 관련이 깊은데, 新石器時代末期의 土器文化와 접촉하여 성립한다고 추정된다. 田作을 중심의 농경이었던 이 시기의 大坪里遺蹟住居址에서 벼·보리·밀·조가 출토되었다. 前期는 한반도 南韓에 있어서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으로 二元化하여 발전한다. 중부지역의 可樂洞式土器와 驛三洞式土器가 전개될 당시 남부지역은 여전히 突帶文土器가 존속하고 있다. 이 시 기 중부지역의 새로운 문화는 북한 서부지역의 팽이型土器와 관련되며, 屯山式住居址가 특징이다. 이 다음 남한 전지역에 출현하는 欣岩里式土器는 한강유역에서 형성되고 細長方形의 館山里式住居址가 특징이다. 山地性취락으로서 火田경작을 동반하는 이 型式의 住居址는 竝列하여 聚落을 이루며, 2∼4기의 爐를 중심으로 大家族를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家族는 中國東北地域으로부터 靑銅器가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시기와 같이하여, 2∼4棟으로 分棟된 世帶共同體로 변화하면서, 聚落은 群集의 형태를 띤다. 이 劃期부터 無文土器時代中期가 되는데, 水稻作·環濠·松菊里式住居址·有溝石斧와 三角形石刀등의 출현과 함께 有力個人또는 有力集團이 등장한다.

영문 초록

Three types of agricultural societies can be recognized based on site location and tool kits during the Mumun pottery period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First type of the community distributed along riverine environment in the alluvial plains(e.g., the sites of Misari and Daepyongri). Second one spread on the ridges and slopes of the mountains(e.g., Baeksugdong site), and the last was formed on the hill side facing towards alluvial plains(e.g., Okhyun site). The early agricultural society developed on the alluvial plains, characterrized by dwellings with square floor plan, pottery with decorative panels, and stone-adze for cultivation. This culture was indigenous development from a local Neolithic culture with the influence of northwestern Korean culture. Rice, wheat, barley, and millet were discovered at Daepyungri site, suggesting the presence of crop-cultivation. The next stage of farming society is characterized by rectangular dwellings, Heunamri type pottery, and ground stone-adze for wood-cutting. Site location and tool kits suggest that the people of this culture practiced a slush-and-burn farming on the mountains. The rectangular floor house is the most common dwelling structure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Each house is relatively large, having two to four hearths inside, and the houses were linearly arranged. The last stage of farming society is characterrized by round dwellings, pre-Songgungri type pottery, and stone-adze for wood-working. The villages were formed in a circular arrangement on the hillside.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might have been carried out in a unit of two to four households in a community. Wet-rice cultivation started in this period. This culture was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Bronze age culture in northeastern China.

목차

1. 머리말
2. 無文土器時代의 段階設定
3. 遺蹟의 立地와 農耕의 形態
4. 農耕文化의 形成
5. 農耕社會의 成立과 展開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재호(Jaeho Ahn). (2000).韓國農耕社會의 成立. 한국고고학보, 43 , 41-66

MLA

안재호(Jaeho Ahn). "韓國農耕社會의 成立." 한국고고학보, 43.(2000): 4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