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細形銅劍의 形式變遷과 意味

이용수 541

영문명
The Type Transition and Meaning of the Slender Dagger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조진선(Jinseon Jo)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45집, 75~10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10.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細形銅劍의 形式學的 硏究는 일찍부터 이루어졌지만 이를 기준으로 時期區分하는 것은 무리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細形銅劍文化의 標識遺物인 銅劍의 形式學的 硏究는 形式變遷樣相 究明과 編年體系의 보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形式을 구성하는 屬性은 다양한 범주로 나누어지는데, 특히 細形銅劍과 같은 武器의 形式學的 硏究는 機能․技術的 屬性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細形銅劍의 機能․技術的 屬性은 製作과 使用過程에 따라 鑄型屬性과 硏磨屬性으로 나눌 수 있다. 鑄型屬性은 鋒部의 長短, 血溝․血槽의 有無, 抉入部의 有無, 下段部의 平面形態를 들 수 있으며 硏磨屬性은 硏磨角, 脊稜線의 形成程度와 節帶의 形態가 대표적이다. 細形銅劍의 形式變遷은 鑄型屬性과 硏磨屬性의 相互關係 속에서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成立期에는 典型的인 細形銅劍 鑄型이 만들어지고, 發展Ⅰ期에는 硏磨法이 改善되는데 劍刃의 擴大過程이다. 發展Ⅱ期에는 4가지의 새로운 鑄型이 등장하는데 劍身이 直刃化되고 있다. 衰退期에는 血槽가 있고 抉入部는 없어진 보다 直刃化된 鑄型과 劍身全體를 한번에 연마하는 硏磨法이 등장하였다. 이와같이 機能․技術的 屬性을 중심으로 한 細形銅劍의 形式學的 變遷樣相은 武器로서 細形銅劍의 機能向上過程일 것이다. 즉 武器로서 細形銅劍의 機能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가는 과정이 形式에 반영된 것인데, 儀器類와 뚜렷하게 구분되는 銅劍의 成分分析 結果, 일반적으로 道具가 儀器化하기 위해서는 社會的 正統性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 그리고 中國에서는 漢代까지도 靑銅이 武器의 주요 材料로 사용되었고 日本에서는 銅劍片이 꽂혀있는 人骨이 출토되고 있다는 점은 細形銅劍의 用度가 武器라는 것을 직․간접적으로 보강해주고 있다. 이러한 細形銅劍의 지속적인 機能向上의 계기는 緊張․葛藤關係가 형성된 당시의 社會的 性格과 깊게 관련될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typological study of the slender daggers(細形銅劍) was carried out long time ago, the idea is widely accepted that to classify the periods based on the study is not so appropriate. However, the typological study of the daggers, which are artifacts indicating the slender dagger culture,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type transition and strengthen chronical system. Attributes comprising the type are divided into various categories. The stylistic study about weapons like the slender daggers should be centered on technological attributes. According to manufacturing and usage processes the technological attributes of the slender daggers can be divided into casting attributes(鑄型屬性) and grinding attributes(硏磨屬性). In casting attributes, in addition to the plane form of the lower part, the presence and length of the end of the dagger(鋒部), the presence of furrow for blood drainage(血溝․血槽)and side groove(抉入部) belongs to this category. The formation degree of ground angles(硏磨角) and ridge line(脊稜線)as well as the form of knot(節帶) represent grinding attributes. In the formation period, a typical mold for the slender daggers was made and grinding method had been improved in the first period of development, which could be regarded as the expansion process of the blade. In the second period of development, where four kinds of new molds appeared, the body of the daggers became like a straightened blade. In the fading period, a mold came into existence which has furrow for blood drainage(血槽) and whose body came to look like more straightened blade as a result of side groove missing. Also a grinding skill was introduced which grinds the whole body of the daggers at a time. The typological transition modes of the slender daggers focused on those technological attributes mentioned above can be looked upon as a process to enhance its function. In other words the process in which the capacity of the slender daggers as weapons was continuously advanced was reflected upon the form. There are several fact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support the conclusion that the slender daggers were used as a weapon.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stituents of the daggers that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eremonial ware testify the fact. Second, in general, social legitimacy should be secured in making a tool become a ceremonial ware. Third, in China, till Han dynasty, a bronze ware was used as a main material for making weapons, and fourth, in Japan, human bones are excavated that have bronze fragments inserted in them. Besides, the motivation causing the function of the dagger to be enhanced is believed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social characteristic at the time when the tension and conflict relation was about to form.

목차

Ⅰ. 머리말
Ⅱ. 細形銅劍의 屬性과 形式分類
1. 細形銅劍의 製作과 使用方法
2. 細形銅劍의 屬性과 形成過程
Ⅲ. 細形銅劍의 形式變遷과 背景
1. 細形銅劍의 形式變遷
2. 細形銅劍 機能變遷의 背景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진선(Jinseon Jo). (2001).細形銅劍의 形式變遷과 意味. 한국고고학보, 45 , 75-100

MLA

조진선(Jinseon Jo). "細形銅劍의 形式變遷과 意味." 한국고고학보, 45.(2001): 75-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