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錦江流域 松菊里型 墓制의 硏究

이용수 663

영문명
A Study of the Songgungni-type Burials in the Kum-gang River Basin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승옥(Seungog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45집, 45~7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10.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송국리형 문화는 취락구조와 조직, 출토유물의 분석을 통해 무문토기시대 사회변천의 중요한 전환기였음이 밝혀지고 있다. 이 글은 금강유역에서 발견되는 무문토기시대 묘제의 분석을 통해 송국리형 묘제의 설정과 묘제에 반영된 당시 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석관묘․석개토광묘․옹관묘의 형식분류를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석관묘는 묘광의 구조에 따라 일단과 이단으로 나누어지고, 이들은 다시 적석과 개석시설에 따라 각각 두 형식으로 세분된다. 석개토광묘역시 일단과 이단으로 나누어지고 옹관묘는 석개직치, 석개사치, 토개사치로 분류된다. 다음으로 이글은 이러한 석관묘․석개토광묘․옹관묘의 입지와 분포, 공간적 배치, 발전과정의 논의를 통해 이들 묘제를 송국리형 묘제로 설정하였다. 송국리형 묘제는 금강중하류에서 가장 밀집된 분포를 보여주지만 금강상류와 하류로 파급되면서 형식의 종류가 변화하면서 지석묘 문화와 혼재하는 지역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무덤의 공간적 분포에 의한 사회조직을 살펴 본 결과 송국리형 묘제는 개별무덤, 무덤군, 전체무덤의 동심원상으로 조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는 송국리형 묘제에서 보이는 사회조직과 성격에 대한 ‘시론적 성격의 논의’를 제시하였다. 먼저 무덤의 크기에 대한 분석결과 송국리형 묘제의 피장자는 굴신장법으로 매장되었으며, 각 무덤군은 성과 연령에 따라 무덤의 규모와 구조, 부장유물의 차이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즉 소아용 무덤에 비해 성인의 무덤에 석검과 석촉을 훨씬 많이 부장하는 경향이 있으며, 판석과 생토바닥을 하고 석촉이 부장되어 있는 무덤은 남성과, 바닥에 토기를 깔고 석촉이 전혀 부장되어 있지 않는 무덤은 여성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추정해 보았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송국리형 묘제는 성과 연령에 의해 조직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부여 송국리와 가증리유적처럼 인근의 유적에 비해 유력자 집단의 묘로 추정되고 유력자 집단내에서도 어느 정도 사회적 차별화가 진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유적도 존재한다.

영문 초록

It has been well known that,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settlement structure and pattern and artifacts recovered, the period of the Songgungni-type culture was a time of important transition and change in socio-political systems of the Mumun(plain-coarse pottery) period in Korea. This essay attempts to establish the Songgungni-type tombs and to discuss the soc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nggungni-type culture through the analyses of the Mumun period tombs in the Kum-gang river basin. It starts with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s of stone cist tombs, pit tombs with stone covers, and jar coffin tombs. The analyses show that stone cist tombs are classified into the two types, single level tombs and double level tombs, each of which is again divided into the two types based on the structure of capstones and paved stones. Pit tombs with stone covers are also divided into single level tombs and double level tombs. Jar-coffin tombs are classified into erect jar-coffins with stone covers, slant jar-coffins with stone covers, and slant jar-coffins with pottery covers.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location and distributions, and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stone cist burials, pit tombs with stone covers, and jar coffin tombs, these burial styles are identified as the Songgungni-type burials. The Songgungni-type burials were found most densely in the middle Kum-gang river but, as they were diffused into the upper and lower Kum-gang river, they were found together with dolmens and the variation of the burial types changed. The results on the analyses of the social organization reveal that the Songgungni-type burials consist of burials, burial clusters, and macrocluster, which reflects at three increasingly inclusive levels as a layout plan of burial sites. Finally, this essay attempts to propose a rough sketch on the soc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reflected on the Songgungni-type tombs. The analyses of the burial size strongly suggest that the dead of the tombs were buried in a crouched posture. In addition, there seems to exist differences in the burial size and structure and artifacts recovered according to the sex and age of the dead. In other terms, it seems likely that adult tombs in comparison to infant tombs were accompanied by much more stone daggers and arrowheads. Further, while male tombs had floors made of several stone slabs or earth, and many male tombs contained stone arrowheads, female tombs had floors made of pot fragments and none of them produced stone arrowheads. Although most of the Songgungni-type burials, as discussed above, seems to be organized based on the age and sex of the dead, some burial sites such as Songgungni and Gazungni can be ascribed to the burials of high-ranking groups, suggesting some degree of social ranking within and between Songgungni-type burials

목차

Ⅰ. 머리말
Ⅱ. 石棺墓․石蓋土壙墓․甕棺墓의 종류와 구조
1. 석관묘
2. 석개토광묘
3. 옹관묘
III. 송국리형 묘제의 분포와 성격
1. 송국리형 묘제의 설정
2. 분포와 전개과정
3. 공간조직과 사회적 특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옥(Seungog Kim). (2001).錦江流域 松菊里型 墓制의 硏究. 한국고고학보, 45 , 45-74

MLA

김승옥(Seungog Kim). "錦江流域 松菊里型 墓制의 硏究." 한국고고학보, 45.(2001): 45-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