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飼育種돼지의 韓半島出現時點및 그 社會經濟的·象徵的意味

이용수 538

영문명
Domesticated pig in Korea: its socioeconomic and symbolic context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준정(JuneJeong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79집, 131~174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반도 고고학 유적에서 출토된 돼지 유존체 가운데 사육종(飼育種)을 판별하여, 그 출현 시점을 밝히고 사육종 도입에 내포된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반도 자료에 적합한 생물측정학적 기준을 마련하고, 고고학적 출토 정황, 동물유존체 자료의 종별·부위별·연령별 구성, 안정동위원소 분석 및 DNA 분석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초기철기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11개 유적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천 늑도(泗川勒島), 동래 낙민동(東萊樂民洞), 김해 회현동(金海會峴洞), 부산 고촌리(釜山古村里) 유적 등 영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유적에 사육종 돼지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으며, 특정한 의례적 맥락에서 사육종유존체가 발견된 춘천 천전리·율문리(春川泉田里·􆩰文里), 동해 송정동(東海松亭洞) 유적 등 강원도 원삼국시대 유적의 예를 통해 사육종 돼지 도입의 상징적 의미를 추론하였다. 삼국시대까지도 동물성 식료는 주로 사슴과 야생종 돼지를 활용하는 가운데, 특정한 의례적 맥락(아산 갈매리[牙山葛梅里], 연천 호로고루[􆨪川瓠􆧙古􆧮], 진주 무촌[晋州武村] 유적)이나 특수한 사회경제적 맥락(부여 구아리[扶餘舊衙里] 등 일련의 백제 사비기 유적)에서는 소, 말, 돼지등 사육종의 출토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특히 사육종 돼지는 어린 개체의 두개골을 중심으로 출토되어, 의례적 맥락에서 주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사육종 돼지는 당시 사회 내에서 사회경제적·정치적으로 우위를 점하던 집단에 의해 특정한 목적하에 도입 또는 수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슴과 멧돼지 수렵을 통해 동물성 식료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었던 당시 생계경제 체계하에서 사육종 돼지는 육류 공급의 측면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으며, 오히려 특정한 의례적 맥락에서 동물희생의 일환으로 주로 활용되었다. 동물희생 의례는 머리 등 특정 부분을 매납 등의 행위를 통해 포기하는 상징적 요소와 더불어, 나머지 부분은 사회구성원들이 함께 소비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 내의 구성원 간 또는 집단 간의 통합과 차별화를 확인하고 강화하는 사회경제적 요소를 지닌다. 고고학 자료에 나타난 양상을 토대로, 한반도의 초기 사육종 돼지는 이러한 사회경제적, 상징적 맥락에서 도입되고, 사육되고, 활용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paper addresses the issue of when, where, why and how domesticated pigs were introduced in the Korean peninsula by examining faunal remains from archaeological sites. Evidence for domesticated pigs, dating back to the Neolithic period has been reported from a couple of sites in North Korea, but the criteria of identification and context of discovery are unclear. The pig bones from several sites dated to the Early Iron and Proto Three Kingdoms periods, such as Nuk-do, Nakmin-dong, Heohyun-ri, Gochon-ri, Cheonjeon-ri·Yulmun-ri, Songjeong-dong, and Gangmun-dong, are identified as domesticated ones,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using biometry, kill-off pattern, dental pathology, stable isotopic data and genetic markers. Remains of domesticated pigs were slightly increas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seen from Galmae-ri, Gua-ri, Horogoru, and Muchon sites. As the hunting of wild animals, such as deer and wild boar, remained the key source of meat into the Three Kingdoms period, most of domesticated pigs were recovered from the ritual context and/or as socioeconomic prestige items. The provision of meat does not appear to have been the primary factor behind its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Domesticated pigs were mainly used as sacrificial victims in ritual settings. Animal sacrifice plays a crucial role not only in the formation of symbolic conceptualization, but also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lations. The introduction of domesticated pigs in the Korean peninsula seems to be controlled by the elite, as a part of constructing their socioeconomic power.

목차

I. 序􆧥
II. 飼育種돼지의 生物學的·文化的位置
III. 飼育種判別에 活用되는 考古學的標􆪔
IV. 韓半島遺蹟出土飼育種돼지 遺存體
V. 飼育種돼지 出現의 社會經濟的·象徵的意味
VI. 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준정(JuneJeong Lee). (2011).飼育種돼지의 韓半島出現時點및 그 社會經濟的·象徵的意味. 한국고고학보, 79 , 131-174

MLA

이준정(JuneJeong Lee). "飼育種돼지의 韓半島出現時點및 그 社會經濟的·象徵的意味." 한국고고학보, 79.(2011): 131-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