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봉토 외형으로 본 신라 전·중기의 왕릉 추정

이용수 512

영문명
Presuming the Royal Tombs of the Early and Middle Silla Periods-Based on the Outer Appearance of the Tomb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윤상덕(Sangdeok Yoo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93집, 164~191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라의 왕릉으로 알려진 무덤은 총 36기에 달하나 이는 대부분 18세기에 비정된 것으로 정확한 주인을 알 수 없다. 왕릉급 무덤이 발굴되지 않아 고고학 자료가 부족한 점이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인데, 앞으로도 대형 무덤의 조사는 어려울 것이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 무덤의 외형 계측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대형 무덤의 평면형태와 크기를 주요 분석도구로 삼아 신라 전기와 중기에 속하는 왕릉의 판별과 주인공의 비정을 시도하였다. 신라 왕릉의 평면형태는 타원형에서 원형으로 변화하고, 크기는 점차 축소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월성북고분군에 있는 신라 전기의 왕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덤의 크기가 축소되지만 적어도 중기초기의 왕릉보다 작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크기 하한을 서악동고분군의 대형 무덤인 4호분과 3호분에 두고 크기가 그 이상인 무덤 13기(1·2군)를 왕(비)릉의 후보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형합장분 3기(98호 황남대총, 90호, 134호), 초대형 무덤인 125호(봉황대), 130호(서봉황대), 그리고 106호(전 미추왕릉)·105호를 유력한 왕(비)릉으로 보았다. 125호분과 130호분 중에 왕비릉이 있다면 차순위에서 1기의 왕릉을 추가로 찾아야 하며 그 후보로 119호분을 들었다. 따라서 금관이 출토되어 기존에 왕릉급으로 추정되기도 했던 무덤인 127호분(금령총), 128호분(금관총), 129호분(서봉총), 155호분이 왕(비)릉이 될 가능성이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중기의 왕릉도 평면형태, 크기, 호석형태의 변화 방향이 전제와 일치함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서악동고분군 4호분을 법흥왕릉으로 비정하고 나머지 1~3호분 중에 진흥왕릉, 진지왕릉이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전 진평왕릉이 무열왕릉 직전의 왕릉임을 설명하고 이를 진평왕릉으로 비정하였다.

영문 초록

A total of 36 tombs are currently recognized as Silla royal tombs. However, as the majority of these tombs were attributed as such in the 18th century, it is difficult to know the identity of the deceased buried in the tombs. As these royal tombs have not been subject to excavation, there has been a distinct lack of evidence, and it is unlikely that the large-scale tombs will be excavated in the future. As a means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plan and the scale of the tombs, as based on their outer appearance, will be used in this paper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royals tombs of the Early and Middle Silla periods and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deceased. The Silla royal tombs gradually became smaller in size, and it is posited that they changed in shape from oval to round in plan. The Early Silla royal tombs of the North Wolseong tumulus ground became smaller over time bu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t least they would not be smaller than the royal tombs of the early Middle Silla period, the large-scale tombs of the Seoak-dong burial ground (No. 3 and 4) are established as the baseline and the 13 tombs larger in size (Groups 1 and 2) were selected as the candidates for the tombs of the Silla kings and queens. The three great double burials (Hwangnamdaechong Tomb, Tomb No. 90, and Tomb No. 134), the extra-large Tomb No. 125 (Bonghwangdae) and Tomb No. 130 (West Bonghwangdae), and Tomb No. 106 (said to be the Tomb of King Michu) and Tomb No. 105 were interpreted as the tombs of the kings and queens. In the case of Tomb No. 125 and Tomb No. 130, if one of these was the tomb of a queen, then another additional candidate must be presented as a possible kingly tomb. One possible tomb is No. 119. This also indicates that the tombs of the highest class, which yielded gold crowns, such as tombs No. 127 (Geumryeongchong Tomb), No. 128 (Geumgwanchong Tomb) No. 129 (Seobongchong Tomb), and No. 155 are unlikely to be the tombs of kings or queens. The royal tombs of the Middle Silla period were found to adhere to the posited assumptions in terms of floor plan, size, and the development of the surrounding protective stones. Based on this, it is assumed that the tombs of King Beopheung, Jinheung, and Jinji are present in the Seoakdong tumulus ground. It is also explained that since the tomb said to be that of King Jinpyeong was indeed constructed right before the tomb of King Muyeol, it is confirmed to be the tomb of King Jinpyeo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전제
Ⅳ. 왕릉의 판별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상덕(Sangdeok Yoon). (2014).봉토 외형으로 본 신라 전·중기의 왕릉 추정. 한국고고학보, 93 , 164-191

MLA

윤상덕(Sangdeok Yoon). "봉토 외형으로 본 신라 전·중기의 왕릉 추정." 한국고고학보, 93.(2014): 164-1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