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半島 出土 水晶多面玉의 展開樣相과 特徵

이용수 407

영문명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yhedral Crystal Bead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양아림(Ahrim Ya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93집, 46~81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원삼국시대 분묘유적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색상의 옥 중에서 무색투명한 수정제 옥의 등장과 한반도 동남부지역에 집중된 수정제 옥의 출토량은 학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이와 함께 한반도 서북부지역 낙랑의 분묘유적에서 동일한 형태와 재질의 다면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일반적으로 수정제 옥이 낙랑과의 교역품 또는 제작기법의 유입으로 재지에서 제작한 것이라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유물 자체에 대한 검토가 충분히 선행되지 않아 한반도 내 수정다면옥의 등장과 소멸, 제작기법 등 기초적인 부분의 연구가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수정다면옥 자체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통해 형태, 제작기법, 출토양상 등의 특징을 도출하고,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수정다면옥의 전개양상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수정다면옥 그 자체는 형태적 특징과 제작기법적 특징을, 출토양상에서는 시간성과 공간성을 반영하며 지역적으로도 차이가 나타난다. 따라서 수정다면옥의 형태적·제작기법적 특징과 공반유물을 통해 검토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전개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수정다면옥은 기원전 2세기 후반 한반도 서북부지역에서 가장 먼저 확인되며 기원후 1세기 말~2세기까지 형태적·제작기법적 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된다. 약간의 공백을 가진 뒤 2세기 중엽 이후 이전과 형태적으로 차이가 있는 수정다면옥이 한반도 동남부·서남부지역에서 출현한다. 서남부지역의 경우 수정다면옥의 출토량이 미비하며 별다른 특징을 보이지 않는 반면에, 동남부지역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수정다면옥과 수정제 옥이 확인된다. 기원후 3세기 중·후엽 다면옥의 출토량이 급격히 증가하며 가장 완성된 형태의 수정제 장신구들이 제작된다. 4세기 이후 수정다면옥의 출토량이 급감하는데, 이는 4세기 이후 유리구슬로 제작된 장신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으로 보아 다종다양한 유리제 장신구가 수정제 장신구를 대체한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Amongst the various colored beads that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re exist the transparent crystal beads. These polyhedral crystal beads have been found concentrated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ame polyhedral crystal beads have also been discovered in the Nakrang (Lelang) tombs of the northwe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se beads have been the subject of much attention and they are seen to have been obtained through trade or manufactured indigenously according to the production techniques that were introduced into the region. However, as previous studies of the polyhedral crystal beads have been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relating to form and manufacturing technique through a specific examination of these beads. Through this, a review of the development of the polyhedral crystal bead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s attempted. In looking at this in conjunction with associated archaeological material, the following nature of development can be identified. Polyhedral crystal beads first appeared in the northwe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2nd century BCE. Then, it was consistently used without change of shape and manufacturing method from the late 1st century CE to the 2nd century CE. Following the mid-2nd century CE, polyhedral crystal beads different from those used before began to appear in the southeast and southwest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case of the southwest region, only a small amount of polyhedral crystal beads were excavated and they had no particular distinguishing features. On the other hand, various forms of polyhedral crystal beads have been discovered in the southeast region. The number of excavated beads dating to the 3rd century CE increased sharply and the most complete types of crystal accessories were produced around this time. A rapid decrease can be observed in the excavated amount of polyhedral crystal beads dating to the 4th century and beyond. An accordance with this, the number of glass beads increased rapidly from the 4th century. It is believed that glass beads of various types and colors replaced the crystal accessories.

목차

Ⅰ. 머리말
Ⅱ. 出土 水晶多面玉에 대한 檢討
Ⅲ. 水晶多面玉의 分析
Ⅳ. 段階設定을 통해 본 水晶多面玉의 登場과 展開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아림(Ahrim Yang). (2014).韓半島 出土 水晶多面玉의 展開樣相과 特徵. 한국고고학보, 93 , 46-81

MLA

양아림(Ahrim Yang). "韓半島 出土 水晶多面玉의 展開樣相과 特徵." 한국고고학보, 93.(2014): 46-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