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야 세장방형 횡혈식석실의 출현배경과 발전양상

이용수 631

영문명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Elongated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of Gay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준식(Junsik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02집, 92~125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야 횡혈식석실은 6세기 전엽 세장방형 평면형태와 중앙연도식의 구조를 특징으로 하여 경남 남해안 일대와 남강 주변지역의 수장층 묘역을 중심으로 축조된다. 이에 그동안 수정봉 유형, 중동리 4호묘 유형, 송학동 유형 등으로 불리며 석실구조의 유사함에 근거하여 비슷한 출현배경과 발전과정을 거친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최근 가야 세장방형 횡혈식석실이 서로 다른 출현배경을 거쳤을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본고에서는 석실구조와 장송의례를 분석하여 그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석실구조는 크게 연도, 석실 개석-연도 개석의 단차, 시상에서 차이를 확인하였고, 장송의례에서는 관정과 관고리의 사용, 금속용기를 부장한 것에서 차이를 확인하였다. 여기서 남강 주변지역과 고성지역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것은 곧 출현배경과 함께 고분 축조 집단의 성격을 반영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출현배경은 주변 고고자료와 함께 문헌에 기록된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당시 백제의 직접적인 영향 하에 남강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횡혈식석실이 도입된 것으로 설정하였고, 그 중심에는 진주 수정봉・옥봉고분군을 상정하였다. 고성지역은 송학동1B-1호분 중심으로 세장방형 횡혈식석실이 출현하였으나 이후 큰 발전과정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에 가야 세장방형 횡혈식석실은 ‘수정봉 유형’으로 통일할 것을 제안하였고, 진주 수정봉・옥봉고분군이 고대(高大)한 봉분의 횡혈식석실만으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에 주목하여 당시 남강 주변지역의 동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소가야 중심지인 고성지역은 장방형 횡혈식석실인 내산리34호분이나 송학동1C-1호분과 유사한 구조의 석실이 발전하는 양상이고, 이를 소가야를 대표하는 석실로 설정하였다

영문 초록

Gaya stone chamber tombs of the 6th century with elongated rectangular floors and central passageways were used as chiefly tombs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of Gyeongnam and the Nam River region. Different types of such tombs have been observed, such as the Sujeongbong type, Jungdongri type and Songhakdong type, and based on similarities in the stone chamber structure, these different types have been understood as having similar backgrounds of emergence and development. However, it has recently been suggested that the elongated Gaya stone chamber tombs may have experienced different backgrounds of emergence. The aim of this research, therefore, was to examine this possibility by analyzing the stone chamber structures and the accompanying funerary ceremonies. The stone chamber structures were found to hav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passagewa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hamber ceiling and the passageway ceiling, and the structure of the stone platforms where the deceased was laid to rest. In terms of the accompanying funerary ceremonies, differences could be observed in the use of iron nails and coffin rings, and in the use of burying metal containers. A distinction could be made between the tombs of the area around the Nam River and the tombs of the Goseong area. This distinction is seen to represent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that built the ancient tombs, as well as the different backgrounds of their emergence. The backgrounds of the emergence of these tombs were investigated by looking at the historical backgrounds recorded in the historical literature, along with other archeological materials. It is possible that the adoption of the elongated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s by the communities of the area around the Nam River (at the center of which lie the tombs of Sujeongbong and Okbong in Jinju) was influenced by Baekje. In the Goseong area, a number of elongated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s were built, centered around the Songhakdong 1B-1 tomb, but no significant developments could be observed afterwards. Hence, it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at the different elongated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s of Gaya should be unified into a single type–the ‘Sujeongbong type’. Since the ancient burial grounds of Sujeongbong and Okbong may have consisted solely of stone chamber tombs, the trends of other contemporaneous burial grounds of the area around the Nam River were also investigated. The burial grounds of the Goseong area, which formed the center of Sogaya, featured more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s (similar to the Naesanri 34 and Songhakdong 1C-1 tombs) than elongated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s. The former spread throughout the region and can therefore defined as the representative stone chamber tomb of Sogaya.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검토
Ⅲ. 비교분석
Ⅳ. 출현배경과 발전양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준식(Junsik Kim). (2017).가야 세장방형 횡혈식석실의 출현배경과 발전양상. 한국고고학보, 102 , 92-125

MLA

김준식(Junsik Kim). "가야 세장방형 횡혈식석실의 출현배경과 발전양상." 한국고고학보, 102.(2017): 92-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