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총단계 신라 고분의 부장 정형과 그 함의

이용수 1043

영문명
The Social Implications of the Grave Goods Composition of Silla Burial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하대룡(Daeryong Ha)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01집, 124~167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편년과 양식론 위주의 방법론으로는 신라 고분 자료의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는 판단 하에, 피장자의 사회적 인격 추적과 그에 따른 부장 양상 파악을 시도하여 양자 간 상관관계를 밝혀내고 그 사회적 함의를 추찰하였다. 먼저 착장 위세품이 2점 이상 출토된 낙동강 이동 지방의 고총단계 신라 고분 118개를 대상으로, 착장 위세품의 부장 정형을 순서배열법과 다차원척도법으로 분석한 결과 세환군과 태환군, 그리고 그 중간적 성격인 복합군의 3개 복식군을 추출하였고, 이는 각각 피장자가 가지는 모종의 사회적 정체성이라 보았다. 그리고 무구·마구를 중심으로 부장 양상을 검토한 결과, 앞서 추출된 복식군에 따라 성시구와 갑주, 등자의 부장 양상이 명확하게 달라지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가장 가시적인 것은 등자의 부장 양상으로, 세환군에는 70%를 상회하는 부장률을 보였으나 복합군에서는 20% 미만, 그리고 태환군에는 등자를 예외 없이 부장하지 않았는데, 이는 재갈-안장-등자로 이어지는 마구의 일체성을 생각할 때 의례적인 이유로 부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착장 위세품의 공반 관계와 복식군에 따른 부장품의 차별적 구성에서 보다시피 낙동강 이동 고총단계의 고분 전체를 통관하는 일단의 규칙성이 처음으로 확인되어, 신라 고분들이 모두 일정한 부장 규칙을 준수하면서 조영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부장 규칙의 발효(發效) 이면에는 당시 낙동강 이동의 영남 지방을 이념적 차원에서 통합한 이데올로기의 파급과 그를 위시한 의례 및 의례의 체계가 상정되었다. 이를 고총 의례, 고총 의례체계라 칭할때, 고총단계 영남 각지의 신라 고분에서 드러나는 다양성은 종래의 것과 다른 양상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다양성에 정치적인 성격을 부여하여 정치적 독립 혹은 의례적 주체성과 연관하여 보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고의 분석에 따르면 공통의 이데올로기 하에서 장례 의례의 수행을 위해 각 지역의 엘리트들이 지역단위에서 고총 의례 규범의 준수에 필요한 물품을 자체적으로 조달한 결과 토기와 매장주체부를 비롯한 고분 자료의 제 측면에서 지역성이 나타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낙동강 이동 지방의 고분 문화가 넓은 틀에서 공통성을 보이면서도 분명한 지역성이 있었던 이유는, 공통적인 이데올로기와 동일한 규범 하에서 수행된 장례 의례이되, 그 내용물과 수행 방식은 각지 엘리트의 자급적이고 적극적인 고총 의례체계 참여 하에 구성되었기 때문이었다. 아울러 기존의 간접지배 가설로는 설명이 곤란하거나 미약한, 고총의 급격한 확산과 쇠퇴에 대해서도 고총 의례체계 및 그에 수반하는 이데올로기의 파급과 상호 작용 강화의 결과로 설명하였다.

영문 초록

Burials may shed light on the social and political aspects of past societies. Existing interpretations of. Silla tombs, however, tend to be based upon chronological and typological approaches, which a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do so. This paper proposes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through analyzing the patterns of association of prestige goods and other grave goods from 118 Silla tombs. The following observations can be made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 association pattern of prestige goods reveals the presence of three different elite identities, which include various statuses. Second, grave goods were discriminately used by the respective identities. This strong pattern implies the existence of a ritual code in Silla burial practices, which may have been sustained for more than a hundred years.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Silla tombs should be considered, not as symbols of regional independence or identities of separate regional polities, but as a materialization of Silla burial rites and the ideology of regional elites.

목차

Ⅰ. 서론
Ⅱ. 신라 고분의 피장자와 부장품
Ⅲ. 착장 위세품의 부장 정형
Ⅳ. 신라 고분의 부장품 구성 정형과 그 함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대룡(Daeryong Ha). (2016).고총단계 신라 고분의 부장 정형과 그 함의. 한국고고학보, 101 , 124-167

MLA

하대룡(Daeryong Ha). "고총단계 신라 고분의 부장 정형과 그 함의." 한국고고학보, 101.(2016): 124-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