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續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도끼의 특성에 대하여

이용수 579

영문명
On the Characteristics of Handaxes from the Imjin-Hantan River Area: the Sequel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유용욱(Yongwook You)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01집, 4~43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도끼는 세계 구석기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로 자리매김해 왔지만 지금까지는 아슐리안 공작의 동아시아적 형태에 해당한다는 보편적 특성의 제시에만 머물러 왔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 성과를 학사적인 입장에서 살피고, 기존 연구가 추구하던 보편성의 제시를 넘어 이 지역 주먹도끼의 특수성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구체적 작업으로서, 1) 임시방편적으로 선택되는 특정 제작 기법의 작업연쇄, 2) 원석의 원래 형태가 주먹도끼의 최종 형태에 꾸준히 반영되는 과정, 3) 석재의 차이 및 석재 특성이 주먹도끼의 형태에 차별적으로 개입하는 방식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도끼는 구대륙 아슐리안 공작의 문화적 전승(cultural transmission)의 산물로 볼 근거는 부족하고 구체적인 고고학적 검증도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가설적 대안으로서,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도끼는 문화적 전승보다는 시공간적으로 주먹도끼의 독립적 발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유전적 전승(genetic transmission)의 결과에 더 가깝지 않나 생각된다. 문화적 전승과는 달리 유전적 전승은 주먹도끼처럼 단순한 형태의 석기 형식이 자발적이고 독자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을 가능하게 해준다. 특히 임진-한탄강 유역의 사례처럼 아슐리안 공작과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고 지리적으로도 분리되어 있는 곳에서 이루어진 기술적 수렴(technological convergence)을 설명하는 데 있어 효과적이며, 차후 이에 대한 고고학적 입증이 더욱 활발하게 시도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handaxes from the Imjin-Hantan River Area (IHRA)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alaeolithic research at an international level as well as among local Korean archaeologists. This article is a succession to 1997’s research on the handaxes of the IHRA. The majority of the past research, has focused on complacently advocating that the IHRA handaxe is an East Asian example of Acheulian industry. In order to go beyond this complacent knowledge, this article attempts to discover and presen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IHRA handaxe. The principal characteristics of the IHRA handaxe are to be: 1) the chaîne opératoire composed of improvising tasks situationally selected according to manufacturing constraints, 2) the reduction sequence and final form strongly influenced by the original shapes of the blank cobbles, 3) raw material selectivity and its contingency with manufacturing skills and limitations on sequential flaking. These characteristics indicate the IHRA handaxe is far from being a product of Acheulian industry; it was hardly brought about by a process of cultural transmission. It is, rather, believed to been an output of spontaneous genesis enabled by genetic transmission among early hominins. In contrast to the cultural view, the idea of genetic transmission has the potential to explain how the East Asian handaxe could have emerged regardless of Acheulian acculturation from the west; in particular, it can be hypothesized that the IHRA handaxe, which is technologically unrefined but relatively younger, is an example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a homoplasy, that was accomplished out of the Acheulian domain. Future research will be more focused on testing and verifying this hypothesis based on new data.

목차

Ⅰ. 서론
Ⅱ.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도끼 관련 연구사
Ⅲ.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도끼의 기술적 특징
Ⅳ. 아슐리안과 동아시아 주먹도끼의 담론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용욱(Yongwook You). (2016).續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도끼의 특성에 대하여. 한국고고학보, 101 , 4-43

MLA

유용욱(Yongwook You). "續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도끼의 특성에 대하여." 한국고고학보, 101.(2016): 4-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