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방과후학교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이용수 274

영문명
A Study on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학회
저자명
박주만(Joo Man Park)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5권 제2호, 125~14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개 도시 초등학교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31개교의 국악 지도강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지도강사 중 5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의 내용으로는 참여 학생, 국악 지도강사, 국악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실태를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고, 심층 면담에서는 실제 방과후 국악수업 운영에서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방과후 국악교육의 개선을 위해 다양하고 새로운 국악 프로그램 및 교재의 개발, 다양한 형태의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는 지도강사의 노력,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 학교 및 학부모들의 방과후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변화 등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onal status of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To attain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28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ctors at 31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four cities operating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Selecting five instructors out of them, this researche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The questionnaire dealt mainly with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ctors, students, and the oper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and the in-depth interview was mainly intended to examine difficulties in operating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and how to improve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author has drawn th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develop new and diverse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fitting them. Second, instructors should make efforts to implement various types of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s. Third, positive supports are needed to be provided for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Lastly, it is necessary for both schools and parents to change their recognition about after-school cla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설문 조사
2. 지도강사 심층 면담
Ⅲ. 연구 결과 1.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학생 기초 실태
2.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강사 관련 실태
3.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된 실태
4. 심층 면담을 통한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주만(Joo Man Park). (2016).초등 방과후학교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음악교육연구, 45 (2), 125-147

MLA

박주만(Joo Man Park). "초등 방과후학교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음악교육연구, 45.2(2016): 125-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