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국제이해교육 이행 현장에 관한 연구

이용수 42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저자명
김다원 이경한
간행물 정보
『국제이해교육연구』제12권 제2호, 45~95쪽, 전체 5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8,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국제이해교육의 실제 상황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이행현장을 방문하여 담당자들과 인터뷰를 통해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국제이해교육은 다문화교육, 인권교육, 세계시민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과 평화교육 등 다양한 용어로 실천되고 있으며 학교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밖 평생교육기관이나 시민사회단체 교육을 통해 이행되고 있다. 학교교육에서 국제이해교육은 주로 사회과 수업에서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활동 및 특별활동으로 문화간 이해, 평화와 세계시민의식의 증진, 지속가능발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주요 교수방법은 참여학습, 강의식 학습이다. 국제이해교육 담당교사들은 국제이해 교육에 대한 연수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하여 전문성이 취약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학교에서 국제이해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국가교육과정에서 국제이해교육의 위상을 강화하고, 교사의 연수기회 확대, 수업자료 보급, 재정 및 시설 지원 등을 통해 역량강화가 요구된다. 학교밖 기관에서의 국제이해교육은 단체의 설립 취지와 운영 목적에 따라 국제개발과 협력, 평화, 인권, 환경과 지속가능성 등을 다루고 있다. 시민단체(기관)에서 국제이해교육 프로그램의 담당자는 현장실무교육이나 대학원교육 등을 통하여 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국제이해교육 담당자들은 교육대상자들이 글로벌 관점에서 지구환경, 빈곤, 평화, 개발 등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주제에 적극적인 실천과 참여를 이끄는데 기여하고 있다. 교육방법은 주로 참여와 체험학습이고, 시민강좌의 경우에는 강의식 수업을 사용하고 있다. 교육대상자들은 자발적인 참여자여서 수업에의 참여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공공기관과는 달리 소규모 시민단체(기관)은 단체 사업의 이해 부족과 재정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본 연구결과, 국제이해교육은 역사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사용용어의 자리매김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국가교육과정에서는 국가간의 국제 분쟁이 증가하고 국제협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기에 국제이해교육을 범교과 학습 주제로 복원시키 이에 맞춰 교사연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학교 밖 시민단체(기관)에서는 다양한 욕구를 수용한 국제이해교육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교사연수, 교육 자료, 재정 지원과 시설 지원 등을 보다 확대 보급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국제이해교육은 국내 문제와 글로벌 문제를 상호 연계시켜서 통합적으로 전망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글로칼(glocal) 시민교육이 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 situation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EIU) in school, life 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NGO). And then we gained the results as following. The language of EIU is not used in school, life 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NGO. In general, EIU is being practiced in various terms such as multicultural education, human rights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and so on. It is implemented not only in school education but also through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or NGO. In the school education, EIU is mainly aimed a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promotion of peace and global citizenship consciousnes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social studies classe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club activities and special activities. And Instruction methods for EIU are mainly participation learning and lecture. But EIU teachers in schools have no professionalism for EIU instruction and contents knowledge. Many teachers think for activation of EIU in school that EIU should be reinforced in national curriculum again and promoted in-service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financial and facilities providing. In life 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NGO EIU program managers have professional than school EIU teachers relatively because they were trained in higher education or teaching career. In life 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NGO major contents for EIU are global environment, poverty, peace, development issues. And they are contributing for global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global issues, and citizen’s participation and practices. And mainly instruction methods are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learning, and subjects participate actively in EIU programs because of spontaneous participators. But life 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NGO are experiencing hardship for difficulty for projects understanding and shortage of finance etc.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EIU needs to consider the positioning of usage terms according to the change of historical environment.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ternational conflicts between countries are increasing and the need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emphasi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training of teachers in accordance with the restoration of EIU to the subject of cross - curricular learning. In order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EIU that accommodates various needs, civic organizations outside the school need to expand and distribute teacher training, educational materials, financial support and facility support. By doing so, EIU should be a glocal citizenship education that integrates domestic issues and global problem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m, and solving local and global issu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국제이해교육의 실태조사 분석 결과
Ⅳ. 학교교육과 시민단체(기관)의 국제이해교육 비교
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다원,이경한. (2017).한국 국제이해교육 이행 현장에 관한 연구. 국제이해교육연구, 12 (2), 45-95

MLA

김다원,이경한. "한국 국제이해교육 이행 현장에 관한 연구." 국제이해교육연구, 12.2(2017): 45-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