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가학 이야기의 전승 양상과 서사 구성

이용수 72

영문명
The Aspect of Tradition and Descriptive Composition of Moon Ga-Hak’s Narrative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권유경(Kwon Yu-Kyoung)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48집, 75~120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가학 이야기는 진주 ‧ 산청 지역에 전하는 지역 전설이자 인물 전설이다. 또한 역사인물담이다. 문가학은 문익점의 조카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까지 실존했던 인물이며, 산청군 신안면 소이리에는 그가 살았던 집터였다는 못이 전설의 증거물로 남아 있다. 이 글에서는 문헌 자료와 입말 채록 자료를 통해 문가학 이야기의 모습과 전승, 서사 구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문가학에 관한 이야기는 표현 매체에 따라 크게 글말로 전하는 이야기와 입말로 전하는 이야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글말 이야기는 다시 실록에 기록된 역사 이야기와 지역 문헌에 전하는 글말 이야기로 세분해 볼 수 있다. 입말 이야기와 지역 문헌에 전하는 글말 이야기가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허구로서의 문학이다. 한편, 글로 적혀져 있는 이야기들은 모두 입말로 전해질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역사 이야기는 『조선왕조실록』의 「태종실록」과 「세종실록」에 나오는 문가학의 난에 관한 기록으로 문가학과 왕의 갈등과 대결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문가학의 승리에서 패배로 나아가는 이야기이다. 여기서 드러나는 문가학의 성격은 비를 내릴 수 있는 도술가이나 역모를 일으켜 처참한 죽임을 당하는 비극적 인물이다. 글말 이야기를 전하는 지역 문헌은 한문 문헌과 한글 문헌으로 구분되지만, 관찬 서적으로 나온 한글 문헌 대부분이 17세기에 나온 한문 문헌인 사찬(私撰) 지리지 󰡔운창지󰡕의 이야기에 바탕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문가학이 여우와의 대결에서 부분적으로 승리함으로써 불완전한 도술을 하게 되어 결국 죽는 것으로 끝난다. 역사에서의 문가학 사건 이후 그의 고향이었던 단성 지역의 선비계층에서는 ‘문가학이 역적으로 죽었다’는 화소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면서 이 이야기를 전한다. 입말 이야기는 기존 채록 각편 5편과 필자가 직접 현지에서 조사하여 채록한 각편 10편을 대상으로 한다. 이 이야기의 전반부는 지역 글말 이야기의 내용과 같다. 후반부에는 문가학이 왕과의 대결에서 패배하여 역적으로 죽고 말았다는 내용이 이어진다. 문가학이 하고자 한 일은 ‘나라를 세우려 했다’를 비롯해 여러 가지로 전하는데, 입말 이야기 전승자들은 지역에서 글말 이야기를 전승한 선비계층과 달리, 보다 발랄한 허구적 상상력으로 사건을 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가학은 도술이라는 비범한 재주를 지녔던 인물로 조선 초기의 공고한 체제를 뒤엎고 자신의 나라를 세우고자 왕과 직접적으로 대립한 인물이다. 비록 자신의 결점으로 인해 패배에 이르러 비극적 종말을 맞이하고 말았지만, 자신을 둘러싼 외적 세계와 적극적으로 대결하며 자신을 드러낸 인물이다. 이로 볼 때, 문가학 이야기를 ‘알고 모르기’ 유형에서 ‘이인이 자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실패하는 이야기’로 분류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각편을 좀더 확보하고 면밀히 분석하여 문가학이라는 인물에 대해 ‘이인’도 ‘귀족 영웅’도 ‘민중 영웅’도 아닌 새로운 인물형을 찾아야 하리라 본다.

영문 초록

Moon Ga-Hak’s tale is a local figure legend transmitted throughout local regions of Jinju and Sanchung. It is an example of Korean oral “historic man tales.” Moon Ga-Hak, a nephew of Moon Ik-Jeom, was a real person from late Koryo and early Joseon. Pegs of the ground for his house remains as a legendary evidence in Soi-ri, Sinan-myeon, Sancheong-gun.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figure, transmission, and descriptive composition of Moon Ga-Hak’s narrative using literature and oral recordings. Moon Ga-Hak’s narratives are divided into written narrative and oral narrative. Written narrative is subdivided into historic narrative and local written narrative. Also, all of the written words are likely to come from the oral tradition. Historic narrative records the uprising of Moon Ga-Hak enlisted in “Taejong Silok” and “Sejong Silok” of the “Annals of the Joeseon Dynasty.” It says that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Moon Ga-Hak and the King lead to a defeat from a victory along the passage of time. Moon Ga-Hak’s character here is a tragic figure who dies miserably by rising a revolt although he is a Taoist magic performer who can make the rain fall. The local written narrative divides into Chinese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Most Korean government compilations base the tales on a narrative of “UnChangJi” of Chinese literature in the 17th century. This narrative ends up with Moon Ga-Hak’s death due to his imperfect Taoist magic in the partial victory in a confrontation with the fox. After the incident of Moon Ga-Hak in history, the classical scholars in Danseong district of his hometown did not directly mention that Moon Ga-Hak died of a traitor. The oral narrative consists of five pieces of existing recording versions, and ten pieces of local recording versions locally investigated by writers. The first half of the narrative is the same with the contents of the local written narrative. In the last half of the narrative, Moon Ga-Hak died as a rebel defeated in the confrontation with the King. What Moon Ga-Hak is credited for includes establishing a nation. An oral narrative transmitter, unlike classical scholars, transmits an incidence with vivid fictional imagination. Moon Ga-Hak, an outstanding figure talented at Taoist magic, was a figure confronted by the King to overturn the established system and build his own n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lthough his faults led him to a defeat, and to a tragic end, he has actively fought against the outer world surrounding him and revealed himself to the world without hiding himself.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classifying Moon Ga-Hak’s narrative as “a man of unusual ability”, “failing out of inability to solve his problem” from “a type of knowledge and ignorance.” It leaves us a new challenge of finding out a new type of figure, not the man of unusual ability, the noble hero, or the folk hero by securing more versions of the narrative and examining them in detail.

목차

1. 들머리
2. 문가학 이야기의 전승 양상
2.1. 글말 이야기
2.2. 입말 이야기
3. 서사 구성요소와 의미
3.1. 갈등의 전개
3.2. 인물의 성격
3.3. 서사의 변주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유경(Kwon Yu-Kyoung). (2018).문가학 이야기의 전승 양상과 서사 구성. 구비문학연구, 48 , 75-120

MLA

권유경(Kwon Yu-Kyoung). "문가학 이야기의 전승 양상과 서사 구성." 구비문학연구, 48.(2018): 75-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