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주시 수몰지구 설화의 전승양상 연구 -대평면 설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49
- 영문명
- A study on Transmission Aspects of Submerged District Tales in Jinju-si - With Focus on Daepyeong-myeon Tales -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권복순(Kwon, Bok Soon)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48집, 43~7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진주시 수몰지구에 해당하는 대평면 설화를 대상으로 기억 전승이라는 설화의 본질에 입각하여 구술서사학의 관점에서 설화의 전승 양상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2장에서는 수몰지구인 대평리, 사평리, 신풍리를 대상으로 전반적인 설화의 존재양상을 살펴보았다. 대평리는 인물전설이나 지명전설이 주를 이루었고 사평리와 신풍리는 민담이 우세했다. 구술자 구성 비율을 살펴보면 대평리는 주로 남성들이 주도하고 사평리나 신풍리는 남녀 내외없이 구술에 참여하였다. 3장에서는 화자의 발화 시점을 경계로 기억 재현의 고리와 기억 전승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평면의 기억 재현의 고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이 김덕령이며 그 뒤를 이어 지명에 얽힌 전설이 많았다. 이외 호랑이 민담이 뒤를 이었다. 이와 같이 설화의 특성을 밝힐 수 있는 요건 가운데 하나인 언어적 지표인 제목을 통해서 마을별 설화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평리는 인명이나 지명과 관련한 고유명사가 많고 사평리나 신풍리는 보통 명사가 많았다.
이야기판에서 기억의 전승 양상은 화자의 인지 체계 및 연행과 매체의 개입 정도에 따라 세 갈래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 공적 영역보다 사적인 영역이 우세한 경우이다. 전승 양상 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화자가 공적 영역인 외부발화단계로 전환함에 있어서 현실세계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고 서사를 출력한 경우이다. 2)는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한 경우이다. 즉 개인의 사적 영역인 내부발화단계에서 공적 영역인 외부발화단계로 전환할 때 현실 세계의 영향을 일정하게 받은 경우이다. 3)은 공적 영역이 사적 영역보다 우세한 경우이다. 즉 개인의 사적 영역에서 공적영역으로 전환할 때 현실 세계의 개입으로 서사가 많이 변이한 경우이다. 수몰지구의 설화 중에서 대평리는 2)가 우세하고 사평리와 신풍리는 1)이 우세했다. 특히 3)의 경우는 대평리에서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전승 양상은 대평면 수몰지구의 특수성이라 볼 수가 있으나 한편으로 기억으로 전승하는 구술서사의 보편적인 양상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연구 대상 범위가 수몰지구 한 개 면 단위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대평면 수몰지구만의 특수성에 해당하는지 밝히지 못하였다. 앞으로 범위를 확장하여 다른 수몰지구와 비교 분석하는 일은 과제로 남겨둔다.
영문 초록
In this writing, transmission aspect of the tale was to be explored for the object of Daepyeong-myeon tale for the submerged district in Jinju-si from the viewpoint of dictated narratology based on the essence of tale called memory transmission. In Chapter 2, the existence aspect of tales was considered for the object of Daepyeong-ri, Sapyeong-ri, Shinpung-ri as submerged districts. While figure legends or place name legends constituted a mainstream for Daepyeong-ri, folktales were prevalent for Sapyeong-ri and Shinpung-ri. Considering the composition ratio of dictated dictators, mainly males led for Daepyeong-ri, while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ted in dictation without distinction for Sapyeong-ri or Shinpung-ri. In Chapter 3, chains of memory reproduction and memory transmission were considered with the tale start point as a boundary, knowing that transmission of dictated narrative lied in memory. As a result, what accounted for the largest relative weight in the chains for Daepyeong-myeon was Gimdeokryeong with many legends having their backgrounds associated with place names. In addition, this was followed by tiger folktales. In this way, characteristics per village could also be affirmed through titles corresponding to major linguistic indicators. Daepyeong-ri had many proper nouns related to person names or place name, while Sapyeong-ri or Shinpung-ri had many common nouns. Transmission aspects of memory could be divided into 3 branches depending on speakers recognition systems, entraining and intervention extent of media. 1) represents the case where the private domain was more prevalent than the public domain. It is the most basic form among transmission aspects where the speaker outputted narratives without being particularly affected by the real world in conversion to the stage of outside tale start as the public domain. 2) shows the case where the private domain accounted for a similar relative weight to the public domain. Namely, it is the case where the stage of inside tale start as the individual s private domain was under a constant effect of the real world as the public domain. 3)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public domain was more prevalent than the private domain. Namely, it is the case where narrative for the individual s private domain was subjected to much transition due to intervention of the real world. Among tales of the submerged districts, 2) was prevalent for Daepyeong-ri while 1) was prevalent for Sapyeong-ri and Shinpung-ri. In particular, the case of 3) was displayed only in Daepyeong-ri. Whereas such transmission aspects as above can be considered as the distinctiveness of the submerged district of Daepyeong-myeon, they may also be considered as a universal aspect of dictated narrative that is transmitted by memory. Such results could not clarify whether they only corresponded to the distinctiveness of the submerged district of Daepyeong-myeon since the object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one myeon unit of the submerged district. The work of expanding the scope to other submerged districts for comparative analyses in the future shall remain as a task.
목차
1. 문제 제기
2. 설화 전승의 실상
3. 기억 전승의 경계
3.1. 기억 재현의 고리
3.2. 기억 전승의 양상
4. 마무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