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퇴계학파(退溪學派)와 율곡학파(栗谷學派)의 『사서석의(四書釋義)』 간행(刊行)과 그 의의

이용수 99

영문명
A Study of Toegye and Yulgok school of SASESUKYEI(四書釋義) publishing and its meaning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전재동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20권, 63~9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학사에서 이황의 사서석의는 선초(鮮初)에 유입된 명(明)의 성리 학을 조선식으로 이해한 것이자, 이황만의 독특한 견해가 충실하게 반영 된 텍스트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이의 사서석의는 조선조 경서 언 해의 지침을 마련하여 후대 학자들의 경서 해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 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동일한 서명의 두 텍스트는 간행 및 성서 과정에서 내부의 갈등, 확실하지 않은 유전(遺傳) 경로 등으로 인해 다소 오해의 소지를 남겼다. 본고는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에서 동일한 서명으로 간행된 사서석의? 의 차이를 구명하고, 그것이 지니는 학술사적 의미를 조명해보기 위한 것이다. 논의의 순서는 첫째, 16-17세기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경서 해석 관련 자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둘째, 두 학파에서 간행한 ?사 서석의?의 성서 과정을 추적하는 과정을 거친 뒤 이 자료가 당대 및 후 대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퇴계학파의 사서 해석 관련 자료는 ①국립중앙도서관을 비롯한 여러 국학기관에 소장된 사서석의, ②소수박물관에 소장된 퇴계선생용학석 의변오, ③경북대학교에 소장된 사서석의, ④금보의 사서질의, ⑤이 덕홍의 사서질의등 총 5종이 전존(傳存)한다. 이 자료들은 대부분 이 황이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거나, 이황 직전제자들이 편찬에 직간접적으 로 관여한 것이다. 율곡학파의 사서석의는 관본 언해의 오류를 수정한 16세기 기호학 파의 대표적 경학 관련 자료이다. 사서소주권평은 이이가 직접 편찬한 것으로, 대전본 소주 가운데 의문이 있는 대목을 선정하여 권주와 권점 으로 평한 것이다. 사서소주권평은 조선 중기 율곡학파 및 이후 우암 학파-농암학파 계열의 주요 경서 해석 텍스트이자 대본이 되었다. ?사서석의는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에서 동일한 제명(題名)으로 간행되 었지만, 그 내력과 편찬 목적 등은 상이한 지점에서 출발하였다. 퇴계학 파의 사서석의는 당대에 유통되던 구결과 석의를 총집(總輯)한 것이다. 그러나 율곡학파의 사서석의는 후대 학자에 의해 서명이 부가된 것이 며, 이이가 주안점을 둔 것은 대전본 소주와 언해의 올바른 해석 제시이 다. 그러므로 두 텍스트는 서명만 동일할 뿐, 편찬 목적이나 성격, 내력, 전승 과정 등이 상이한 자료이다. 또한 두 텍스트는 학파 내에서 각각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사서석의의 성서 과정과 관련 자료
1. 조선 초 경서 해석 경향과 석의류(釋義類)의 등장
2. 퇴계학파의 석의 작업과 사서석의 간행
3. 이이의 경서 주석과 사서소주권평(四書小註圈評)?
Ⅲ. 조선 후기 사서석의의 위상과 가치
1. 퇴계학파의 사서석의전승(傳承)
2. 율곡학파의 퇴계설 비판과 주자설 옹호
3. 사서석의에 대한 쟁점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재동. (2017).퇴계학파(退溪學派)와 율곡학파(栗谷學派)의 『사서석의(四書釋義)』 간행(刊行)과 그 의의. 퇴계학논집, 20 , 63-92

MLA

전재동. "퇴계학파(退溪學派)와 율곡학파(栗谷學派)의 『사서석의(四書釋義)』 간행(刊行)과 그 의의." 퇴계학논집, 20.(2017): 63-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