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언과 성리학

이용수 117

영문명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윤주필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7권, 1~41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1.0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전기 철학담론으로서의 우언과 도상을 살피면서 우언과 성리학의 관련성을 점검하였다. 여기서 철학담론이란 어떤 철학적 인식 이 문학적 표현과 역사적 사실 속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지칭한다. 정도전은 <謝&#39761;魅文> <心問天答> <心氣理篇> 등의 해당 작품을 남 겼다. 이것들은 작가의 사상적 결단, 사회적 불평등에 대처하는 인간의 주체성과 책무, 불교의 심과 도교의 기에 대한 리의 포괄성과 근원성을 환유하였다. 권근은 조선 신유학의 방향을 사회적 제도적 관심보다는 성 리학적 수양론에 두고 &#61440;입학도설&#61440; 등을 통해 교학적 논설을 폈다. 특히 <天人心性合一之圖>는 사람의 형상 속에 천명과 인심을 함께 배치하고 마음의 여러 요소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도상성이 돋보인다. 조식은 <杏壇記> <陋巷記> <神明舍圖銘> 등에서 철학담론의 우언 글쓰기를 시도하였다. 앞의 두 작품은 작가가 젊은 날 깨우쳤다는 이윤의 뜻과 안 연의 배움을 환유한 것이다. 맨뒤의 것은 도상(圖像)과 명문(銘文)을 통 해 마음을 ‘신명의 집’으로 환유하고, 깨어 있는 밝은 정신이 사람 몸의 안팎에서 어떻게 유지되고 작용하는지를 우의적으로 표현했다. 이황은 <천명도설>의 수정 작업을 통해 ‘공경함’이란 ‘성(性)’을 찾는 작업이며 ‘정(情)’을 ‘성’에 의거해 견제하는 일로 나타내었다. 또한 학문적 논쟁을 농부와 목수의 일에 비유하면서 자신의 학문 태도를 옹호하였다. 김우옹 은 도상우언 <신명사도명>을 근거로 천군이 신명전에 즉위하여 나라를 다스린다는 서사우언 <天君傳>을 지었다. 전체적으로는 경(敬)-성(誠)- 의(義)의 수양론적 과정을 계기적 사건으로 묘사하였지만, ‘게으름’과 ‘오 만함’을 반란의 괴수로 의인화하고 ‘양심’과 ‘뜻’을 외로운 충신과 용맹스 러운 장수의 보조인물로 추가하였다. 임제는 <愁城誌>를 통해 <천군 전>을 계승하면서도 단순한 수양론의 수준을 넘어서 모순된 역사와 강 개한 정서를 환유함으로써 심각한 문제의식을 제기하였다. 사람의 감정 이 나름대로 정당함을 인정하면서도 ‘삶의 의지’[生意]라는 주체적 역사 관을 도출하면서 우언 소설의 새 영역을 개척했다. 조선전기에서 우언의 철학담론은 두 부류의 전통을 지니고 전개되었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정도전과 권근: 창의적 우언과 교학적 도상의 시작
3. 조식과 이황: 직관적 혹은 학문적 우언·도상의 분화
4. 김우옹과 임제: 철학담론으로서 우언 서사의 개척과 한계
5.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주필. (2010).우언과 성리학. 퇴계학논집, 7 , 1-41

MLA

윤주필. "우언과 성리학." 퇴계학논집, 7.(2010): 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