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맹인 소재 무당굿놀이에서 맹인 재담극으로의 공연화 과정에 나타난 변화 양상
이용수 2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송미경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43집, 101~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굿의 한 제차로 연행되었던 맹인 소재 무당굿놀이가 전통공연예술
레퍼토리로서의 맹인 재담극으로 공연화되는 과정에 나타난 변이의 양상과 그 경향성
에 대해 고찰하여 보았다.
우선 맹인 소재 무당굿놀이와 맹인 재담극의 단락별 구성을 비교해본 결과, 레퍼토
리화 과정에서 ‘맹인의 등장’, ‘맹인의 점 치기’ 단락이 확장?부연되었으며, ‘맹인 놀리
는 노래’, ‘맹인의 신세타령’, ‘맹인 눈 뜨기’, ‘맹인의 축원’ 단락은 축소?삭제되었다. ‘맹
인의 굿상 음식 타박’, ‘맹인의 똥 먹기’, ‘맹인의 경 읽기’ 부분의 경우, 단락 자체는 유
지되었지만 그 의미나 내용이 완전히 바뀌었다.
맹인 소재 무당굿놀이가 맹인 재담극으로 공연화되는 과정에 제의에서 놀이로, 주
술에서 예술로, 신성에서 세속으로의 변이가 일어나게 된바, 그 과정에 나타난 변이의
경향성은 극적 속성의 강화와 신앙적 기능의 퇴화로 정리해볼 수 있다. 맹인 흉내 내
기의 비중이 확대되고, 재담 위주의 대화가 전개되는 변이를 통해 전반적으로 극적 속
성이 강화되었으며, 맹인이 독송하는 경문이 패러디 되고 개안모티프가 실종 혹은 변
질되는 변이를 통해 신앙적 기능은 퇴화되었다. 이러한 변이의 요인은 굿 현장으로부
터의 분리, 맹인을 형상화하는 목적의 변화, 그리고 극장 및 유성기음반로의 유입과 매체 적응 등에서 찾아볼 수 있겠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맹인 소재 무당굿놀이와 맹인 재담극의 단락 비교
3. 맹인 재담극으로의 공연화 과정에 나타난 변이의 경향성
3.1. 극적 속성의 강화: 맹인 흉내 내기의 비중 확대, 재담 위주의 대화 전개
3.2. 신앙적 기능의 퇴화: 경문에 대한 패러디, 개안모티프의 실종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신 자청비의 노정기와 역할 대리자 -체쳉 고아 선녀, 황우양 부인, 제우스와 견주어-
- 『삼국유사』 <제48대 경문대왕>조 텍스트의 안과 밖
- 맹인 소재 무당굿놀이에서 맹인 재담극으로의 공연화 과정에 나타난 변화 양상
- 정체성 구성과 장소성 형성에 대한 연구 -반가(班家) 여성의 구술생애담을 대상으로
- 분노 표출과 부정적 자기인식의 계기로서 호랑이 상징 - 설화 <노름 끊은 이야기>를 중심으로 -
- ‘고난극복형’ <우렁색시설화>의 신화적 성격
- 설화 <구렁덩덩신선비>의 서사를 통해 본 ‘관계 맺음’의 문제
- ‘길장가 든 총각’ 설화에 나타난 고립의 문제와 관계 전복의 서사문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