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설화 <구렁덩덩신선비>의 서사를 통해 본 ‘관계 맺음’의 문제
이용수 19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조홍윤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43집, 191~23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0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설화 <구렁덩덩신선비>의 서사에 내포된 두 가지 층위의 관계 맺음 원
리에 대하여 그 설화적 의미를 드러내보고자 하는 의도에 의한 것이다. 여기서 두 층
위의 관계 맺음 문제란, 1차적으로 설화의 서사 표면에 배치된 그대로의 남녀 간의 관
계 맺음에 대한 것이고, 그러한 1차적 ‘남-녀’의 관계 맺음에 대한 의미를 2차적으로
‘사람-사람’의 관계 맺음 문제로 확장해본 것이다. 이러한 논의 구도는 <구렁덩덩신선
비>에 내포된 남녀 결연의 의미가, 궁극적으로 보편적인 차원의 관계 맺음 문제에 대
한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에서였다. 이에 전체의 서사를 크게 ‘결연(탄생 →
1차 결연)/ 파국(금기위반)/ 회복(시련 → 2차 결연)’의 순차구조를 지닌 것으로 이해하
고, 각각의 국면마다 핵심적인 대립구도를 형성하여 갈등과 사건을 만들어내는 형상
들에 대해 상징 분석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그 의미를 적극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논의의 결과를 그대로 보편적인 관계 맺음의 문제로 재조명하기 위해 ‘관계 맺음 → 관계 위기 → 관계 회복’ 순차구조를 새로이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논의의 결과 드러난 관계 맺음 원리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우리가 관계 대상
에게서 가치로운 어떤 것, 존재적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것으로 대상을 호명하였을 때,
상대는 그에 응답하여 허물을 벗듯이 우리가 발견하고 호명한 그 모습을 발현하게 된
다는 것이다. 우리의 관계 맺음이 이러하기에, 우리는 긍정적인 관계 맺음을 통하여
성숙과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둘째는, 어떠한 관계대상도 부정적인 존재성, 허
물을 지닐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스스로는 도저히 변화시킬 수 없는 자기 면모, 허물
의 존재는 그저 관계의 대상에게 맡길 수밖에 없다. 그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여 감추어
주고자 한다면 그 관계는 공고해져 더욱 더 상생적인 힘을 발휘할 것이나, 그것을 들
추어내고 부정하고자 한다면 그 관계는 위기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 상대방의 가치에
주목할 것, 상대방의 허물을 감추어줄 것, 이 두 가지야말로 <구렁덩덩신선비>에 내
포된 관계 맺음의 큰 원리이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자료 및 서사 개관
3. 서사에 나타난 ‘남녀 결연’의 의미
3.1. ‘결연(탄생 → 1차 결연)’ : 호명과 응답
3.2. ‘파국(금기위반)’ : ‘허물’의 거부
3.3. ‘회복(시련 → 2차 결연)’ : 진정한 안목의 발현
4. 남녀 결연의 의미에 비추어 본 보편적 ‘관계 맺음’의 원리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신 자청비의 노정기와 역할 대리자 -체쳉 고아 선녀, 황우양 부인, 제우스와 견주어-
- 『삼국유사』 <제48대 경문대왕>조 텍스트의 안과 밖
- 맹인 소재 무당굿놀이에서 맹인 재담극으로의 공연화 과정에 나타난 변화 양상
- 정체성 구성과 장소성 형성에 대한 연구 -반가(班家) 여성의 구술생애담을 대상으로
- 분노 표출과 부정적 자기인식의 계기로서 호랑이 상징 - 설화 <노름 끊은 이야기>를 중심으로 -
- ‘고난극복형’ <우렁색시설화>의 신화적 성격
- 설화 <구렁덩덩신선비>의 서사를 통해 본 ‘관계 맺음’의 문제
- ‘길장가 든 총각’ 설화에 나타난 고립의 문제와 관계 전복의 서사문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