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흥우성(憬興偶聖)>조(條)의 대립적 구성과 신화적 이해

이용수 41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이강엽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35집,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삼국유사(三國遺事)』 <경흥우성(憬興偶聖)>조(條)가 관음보살과 문수보살 두 대 립적 인물이 등장하여 서사를 이끌어간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 신화적 이해를 모색하기 위 해 씌어졌다. 첫째, 하늘-아버지와 땅-어머니라는 견지에서 남신과 여신의 특성을 간략히 정리했다. 먼저, 남성은 머리이고 여성은 몸이라는 대립적 자질을 보이는 것을 필두로 하여, 차별성과 평등성, 지혜와 사랑[불교의 ‘자비(慈悲)’]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둘째, <경흥우성(憬興偶聖)>조(條)의 관음과 문수가 서사에 관여하는지 살폈다. 먼저 이 조의 구성을 살핀 결과, [관음] 삽화가 학문적 성취를 이룬 데서 시작한다면 [문수] 삽화는 세속적 성취를 이룬 데서 시작하는 식으로 두 서사단락이 대립쌍을 이루었다. 다음으로, 두 삽화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보았다. [관음] 삽화는 경흥이 지혜(智慧)를 내세워 생긴 문제 해결을 위해 감성(感性)을 보충하는 방법이 쓰인 데 비해 [문수] 삽화에서 는 교만한 마음이 들어 문제를 일으키자 혹독한 질책으로 문제를 깨우치게 했다. 다음으로, 전자가 해학을 통해 양자의 동화(同化)에 주목했다면 후자는 풍자를 통해 양자의 이화(異化) 에 주목했다. 끝으로, 경흥을 대하는 태도가 관음보살은 연민에 기반하는 데 비해 문수보살 은 시비(是非)를 가려내는 데 치중한다. 결국, 두 삽화는 먼저 지혜를 깨쳐준 후, 거기에 자 만하여 청정(淸淨)함을 잃은 데 대해 질책하여 다시 중심을 잡아주는 식으로서 서사가 통합 되었다. 셋째, 이야기 속에 담긴 현실 문제를 짚어보았다. 경흥은 신라와 백제 사이에서 고민하 는 가운데 처세(處世)와 처신(處身)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타개해나가는 서사였다. 또, 맨 끝에 일연이 마무리 진술과 찬시(讚詩)를 덧보탬으로써 신화적 통합과 현실적 타협을 이루 어냈다.

영문 초록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천부(天父)와 지모(地母), 몸과 마음
3. <경흥우성(憬興偶聖)>조의 대립적 구성과 그 의미
3.1. <경흥우성>조의 대립적 구성
3.2. 관음(觀音)과 문수(文殊), 그 대립과 통합
3.3. 이야기 안팎의 조응(照應)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강엽. (2012).<경흥우성(憬興偶聖)>조(條)의 대립적 구성과 신화적 이해. 구비문학연구, 35 , 1-31

MLA

이강엽. "<경흥우성(憬興偶聖)>조(條)의 대립적 구성과 신화적 이해." 구비문학연구, 35.(2012):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