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대탈의 전승 현황과 완보/말뚝이의 변천 양상 : 산대놀이의 변천 과정 재구를 위한 시론

이용수 7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사진실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31집, 465~506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탈의 전승과 변이 양상을 통해서 산대놀이의 변천 과정을 재구하기 위한 시 론이다. 탈 한 벌은 완결성을 지니며 탈춤 텍스트를 반영한다. 새로운 배역이 생성되면 탈 을 겸용하거나 새로 제작하는 등 변화가 생기는데 이러한 양상들은 탈춤의 변천에 관한 주 요 단서를 제공한다. 본론에서는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 탈유물인 유물번호 ‘252번’, ‘1177번’, ‘1179번’ 산대탈의 전승 현황을 밝히고 완보/말뚝이 탈의 착종 양상과 그 의미를 탐색하여 산대놀이의 변천에 관한 새로운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산대탈의 전승 현황에서 두드러지는 문제는 ‘당녀-애사당-소무’ 및 ‘완보-말뚝이’의 착 종이었다. ‘완보-말뚝이’의 착종에 관한 문제는 탈춤 텍스트의 전승 과정과 연관이 있다고 보아 목중탈, 완보탈, 말뚝탈의 전승과 변이 양상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불만에 차서 입 꼬리가 쳐진 외형은 원래 목중탈 모두에 공통되었지만 완보 배역의 분화와 함께 완보탈 만의 이미지로 굳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방의 도시탈춤에서 형성된 말뚝이 배 역이 서울지역의 산대놀이에 수용되었고 연희자들이 목중탈 가운데 하나인 완보탈를 겸용 하여 말뚝이 배역을 소화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물번호 ‘252번’ 목각탈과 ‘1177번’ 바가지탈 한 벌에는 말뚝이탈이 전해지지 않는다. 유물번호 ‘1179번’ 바가지탈인 ‘말둑이’는 겸용하던 완보탈을 본떠 새로 제작된 말뚝이 탈이라고 여겨진다. ‘말둑이’의 출처인 서울시 마포구 도화동은 마포나루를 중심으로 하는 주요 상권이며 산대놀이의 근거지로 알려진 애오개나 노량진과도 가깝다. ‘말둑이’는 전문 놀이패의 탈이거나 그들의 탈춤을 모방해 놀았던 거주민 중심 놀이패의 탈일 수 있다. ‘말 둑이’의 존재는 서울지역의 산대놀이에서 이미 샌님과정의 의막사령놀이가 성립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단서가 된다. 독자적인 말뚝이탈이 마련되면서 말뚝이 배역은 샌님과정을 넘어 산대놀이 전체의 주인 공으로 부상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염불놀이에서 완보와 대결하는 배역에 말뚝이탈을 사용하게 되자 본래 그 배역을 맡았던 관중이 완보와 합쳐져 하나의 인물이 되었다. 말뚝이 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염불놀이의 구조에 혼선이 생겨난 것이다. 지방의 도시탈춤에서 들여온 말뚝이의 인기와 성장에 힘입어 서울지역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서울대 박물관 소장 산대탈의 전승 현황
3. 목중/완보/말뚝이 탈의 전승과 착종 양상
4. 완보의 역할 전이와 말뚝이의 재창조
5. ‘중놀이’에서 ‘양반놀이’의 중심 이동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사진실. (2010).산대탈의 전승 현황과 완보/말뚝이의 변천 양상 : 산대놀이의 변천 과정 재구를 위한 시론. 구비문학연구, 31 , 465-506

MLA

사진실. "산대탈의 전승 현황과 완보/말뚝이의 변천 양상 : 산대놀이의 변천 과정 재구를 위한 시론." 구비문학연구, 31.(2010): 465-5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