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계 주택담보대출 금리유형 결정요인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Determinants of Household Mortgage Loan Interest Rate Type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임현준(Hyun Joon Lim)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35권 제1호, 75~9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2012~23년 중 가계금융복지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입가구가 고정 및 변동금리 대출을 선택하는 요인을 패널 이변량 프로빗 모형(panel bivariate probit model)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추정 결과, 가계가 고정금리대출을 선택하는 확률은 가구주 연령이 30~40대인 경우, 가구원 중 취업자 수가 많을수록, 자녀수가 많을수록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각 가계의 자산액이 클수록, 부채액이 작을수록, 가계의 통상소득이 낮을수록 고정금리대출을 선호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존 부채의 원리금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높은 경우 변동금리대출을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울러 거시변수들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가단위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요 거시변수들이 각국의 고정금리대출 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 장단기 금리차가 축소될수록, GDP성장률이 낮을수록,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높을수록, 주택가격상승률이 낮을수록 고정금리대출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울러 인플레이션의 변동성이 높을수록 물가상승이 고정금리대출 비중을 높이는 효과가 더욱 축소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households’ choice between fixed- and variable-rate mortgage loans. Panel bivariate probit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data from the 2012–2023 Household Financial and Welfare Survey. Estim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a fixed-rate mortgage is low for households where the heads are in their 30s and 40s and with several employed household members and children. Conversely, households with large asset holdings, low debt levels, and low regular income are highly likely to opt for fixed-rate loans. Furthermore, a high debt–service ratio (DSR) is associated with a high probability of selecting a variable-rate mortgage. DSR represents the burden of principal and interest repayments on an existing debt. A country-level panel dataset was utilized to assess the impact of macroeconomic variables.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hare of fixed-rate mortgages tends to increase as the term spread narrows, GDP growth declines, consumer price inflation rises, and housing price growth slows. Additionally, high inflation volatility weakens the inflation-induced preference for fixed-rate loa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분석
Ⅲ.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
Ⅳ. 추정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주거선택 환경요인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원도심·신도시의 거주만족도와 장기거주의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일본의 도쿄 일극집중에 관한 고찰
- 서울 아파트시장에 있어 공인중개사의 역할 - 중개거래의 유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