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거선택 환경요인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원도심·신도시의 거주만족도와 장기거주의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 of Housing Choice Environmental Factors on Recommendation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Long-Term Intention to Stay in the Old City and New Town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김원재(Won Jae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75호, 5~3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원도심과 신도시의 주거선택 환경 요인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지역간 보완요인 등을 도출하고, 신도시 개발 및 도시 계획에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 다. 신도시 개발로 인해 거주자의 이동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원도심과 신도시 거주자 간의 환경적 차이점과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신도시 개발에 따른 거주만족도, 주거환경 개선 요구, 장기거주의향 등을 조사하여 거주자들의 이동과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원도심과 신도시의 거주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6.0, AMOS 26.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첫째, 신도시 개발은 도시 거주자의 이동 패턴과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신도시로의 이동은 주거 공간과 단지 규모에 따른 편의성 및 관리개선을 필요로 하며, 원도심에서 신도시로 이동하는 거주자들은 입지환경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원도심 거주자들은 경제적 환경이 거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신도시 거주자들은 관계 환경이 거주만 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장기거주의향과 추천의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complementary factors between reg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satisfaction with the housing selection environment factors of the original city center and the new city,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new city development and urban planning.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movement of residents du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city, environmental differences and influencing factors between the original city and the new city residents, we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of residenc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 new city,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intention to live for a long time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residents' movemen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of the original city center and new city, and was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The main analysis results were that first,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affects the movement patterns and satisfaction of urban residents, and in particular, the movement to new cities requires convenience and management improvements according to residential space and complex size, and residents moving from the original city to the new city tend to consider the location environment as the most important. Second, residents of the original city center found that the economic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living satisfaction, while residents of new c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living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living, the higher the intention to live for a long time and the intention to recommen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주거선택 환경요인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원도심·신도시의 거주만족도와 장기거주의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일본의 도쿄 일극집중에 관한 고찰
- 서울 아파트시장에 있어 공인중개사의 역할 - 중개거래의 유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